2010 남아공 월드컵은 제게 좀 특이한 월드컵이었습니다. 이전에도 월드컵 경기를 보기는 했지만, 이번처럼 사람들이 많은 곳으로 돌아다니며 살펴보지는 않았습니다. 그냥 조용히 집안에서 혹은 친구 집에서 TV를 통해 본 것이 다였거든요.그런데, 이번 월드컵에서는 DAUM 과의 계약때문에 사람들의 반응을 살피기 위해 일부러 사람들이 많은 곳을 찾아다니며 경기를 관전하였습니다. 물론 손에는 카메라를 들고 다녔죠. ㅋㅋㅋ;; 그렇게 월드컵 경기를 지켜 보면서 월드컵과 관련해 몇 가지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게 저만의 생각일지라도, 아무튼 월드컵을 바라보는 시선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기에 여기에 올려봅니다.
첫째, 월드컵은 인류의 화합을 위한 게임이 아니다라는 겁니다.
예, 제가 느낀 월드컵은 화합이 아니라 경쟁과 분열이 특징을 이루는 특별 이벤트였다고 생각합니다. 경기를 지켜보는 사람들은 자신이 응원하는 국가에 따라 서로 경쟁을 하고 분열이 되는 것을 보았습니다. 이상은 "공 하나로 인류가 연합"라는 것이었을지 모르지만, 현실은 "공 하나때문에 인류가 경쟁"하게 되더군요. 또 게임이기 때문에, 게임의 룰 혹은 결과 때문에 승패가 가리는 것은 어쩔 수 없다고 하더라도, 응원하는 사람들은 경기 그 자체로 즐거워하는 것이 아니라, 승리했을 때에만 즐거워 했습니다. 당연히 패자측에서는 시무룩했고, 고개를 떨구고 그냥 집으로들 들어가더군요. 그게 당연한 행동이기는 하겠지만, 이벤트 자체로 즐거워하는 경우는 보기 드물었습니다.
선수들 사이에서도 기대했던 화합은 볼 수 없었습니다. TV 화면으로 보여주는 경기는 연거푸, 파울과 퇴장으로 멈춰지는 장면의 연속이었던 것 같습니다. 물론 축구는 호전적인 게임이고, 각 경기에 나간 선수들은 "전사"에 비해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스포츠고, 게임입니다. 신사적이 될 필요까지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파울이 난무하고 퇴장까지 되는 경우를 보는 것이 그리 유쾌한 광경은 아니었습니다. 이전에도 축구 경기는 계속 그랬겠지만 특별히 이번 월드컵의 제 느낌이 그렇게 된 데에는 이런 저런 조건이 모두 성립되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결국, 제가 느낀 이번 월드컵의 성격은 긍정적인 것이 아니었습니다. 아니, 부정적이 되었고, 앞으로 이런 국제적인 스포츠 이벤트에 대해 좀 냉소적이 될 것 같다는 느낌이 듭니다.
둘째, 월드컵은 철저하게 그리고 노골적인 상업적 이벤트라는 거죠.
이 주제는 비단 저만이 느낀 것은 아닐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벌써 한국에서도 한 방송사가 중계는 물론 응원하는 문제까지 권리를 주장하는 바람에 여러 블로거들도 이 문제를 다룬 것으로 압니다. 제가 느낀 것은 한국의 문제는 아니었지만, 여전히 돈이 관련된 월드컵이었고, 선수들 개개인의 몸값에서부터, 경기 후 포상금까지 모두 돈 잔치를 하는 것을 살펴보았습니다. 유니폼과 운동화를 비롯해서, 축구공과, 경기장의 서포터들, 그리고 TV 방송 중계권은 물론 광고까지, 월드컵은 모두 다 상업적인 가치 아래 인류를 한 방향으로 몰고가는 사람들의 주머니만 두둑하게 해 주는 결과가 아니었나를 생각하게 했습니다.
차라리 동네에서 각 나라의 유니폼을 팔고, 이런 저런 의상과 악세사리로 한 몫을 본 사람들의 경우는 애교라고 볼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서 대형 TV를 걸어놓고, 손님들을 끌어 대목을 본 식당 주인들의 경우도 그냥 눈감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좀 더 윗선에서 테이블에 앉아서 65억 인구를 대상으로 그 흐름을 만든 사람들은 대부분 경기는 관심이 없고 그로인해 창출되는 이권에만 관심이 있었을 것입니다. 그러니 결국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배후의 움직임에 끌려가는 희생자들일 뿐이라는 생각, 그 와중에 자기가 지지하는 나라의 팀이 경기를 하기 때문에 약간의 즐거움을 선사 받는다는 생각등. 그런 생각과 느낌이 많이 들게 했습니다.
셋째, 무엇이 사람들을 그처럼 광분하게 하는가? 라는 주제가 여러가지 생각을 하게 했습니다.
월드컵에서 설령 자신이 지지하는 팀이 이겼다고 하더라도, 그게 그들 생활에 무슨 영향을 준다고, 사람들이 거리로 뛰쳐나와서 국기를 휘둘러대며 즐거워 하는 걸까요? 파라과이의 경우, 거리로 뛰쳐나와 환호하던 사람들은 급기야 돌을 집어던지고 난동을 부려서 경찰에 연행되기도 했다고 합니다. 도대체 무엇에 영향을 받은 것일까요? 그게 상당히 궁금했습니다. 자신의 나라가 승리를 해서, 세계인이 자신의 나라를 알게 되는 것이 자신의 생활을 접고서라도 즐거워해야 할 일입니까? 그게 자신과 어떤 상관이 있는 것일까요?
심지어 브라질의 경우는 월드컵이 시작되자마자 올해의 GDP가 1200억불이 줄 것이라고, 즉 월드컵으로 인한 직접적인 생산량이 차질을 빚을 거라는 기사가 나왔습니다. 월드컵이라고 하는 것이 힘이 있는줄은 알았지만, 과연 그런 차질을 빚으면서까지 보아야 할 행사인지, 궁금해집니다. 게임을 그냥 게임으로 보는 사람보다는 그렇지 않은 사람이 많았다는 것을 직접 보면서, 월드컵 배후의 힘이 참 교묘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넷째, 요즘은 인기를 위해서는 운동 선수에게 붙는 것은 물론 옷을 벗는 것이 유행인 모양입니다.
스포츠 선수들이 인기가 있다보니, 그 선수들에게 빌붙어서 인기를 누려보려는 사람들이 꽤 되는 것 같았습니다. 한국에서도 여성 연예인들이 아무개 선수에게 애정공세를 펴는 일이 있었지만, 남미에서도 특이한 방법으로 사람들의 주의를 끈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예컨대, 아르헨티나의 모델 하나는 아르헨티나가 우승할 경우, 마라도나가 누드로 뛰겠다는 이야기에, 자신의 트위터에서 "디에고, 너 혼자 뛰게 하지 않을게"라며 자신도 누드가 되겠다고 약속을 해서 화제가 되었습니다. 마찬가지로 파라과이의 한 모델 역시 특정 게임을 앞두고 자신이 원하는 결과에 이르면 옷을 벗겠다고 약속을 했고, 게임이 자신이 원하는 결과로 끝나지 않자 상반신 누드로, 그리고 나중에는 구실을 붙여 결국 옷을 다 벗었습니다. 자신의 인기 때문이기는 했겠지만 월드컵을 이용하는 그 모습이 그리 멋져 보이지는 않았습니다. 아니, 추잡해 보이기까지 했습니다.
또 카메라에서 가끔씩 잡아서 보여주는 여자들의 경우도 경기를 빙자해서 광고를 하는 것이라는 이야기를 읽었습니다. 그렇다면, 그냥 평범한 사람들만 이렇게 저렇게 치이는 것이 바로 이런 이벤트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다섯번째, 월드컵 기간중의 게임은 모르핀 같았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그걸 전적으로 보도한 언론은 돌팔이 의사짓을 했다는 거죠. 심지어 한국의 한 신문에서는 월드컵이 중동에 평화를 가져왔다는 기사를 냈습니다. 전, 그 기자가 도대체 평화가 뭔지는 아는지 궁금했습니다. 월드컵에 정신이 팔려 잠시 중단된 학살이 평화입니까? 인류가 처한 여러가지 문제들에 대해서 월드컵은 잠시동안 문제를 잊을 수 있는 알코홀이나 진통제같은 역할을 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진짜 전문가들이라면 그렇게 진통 효과가 있는 동안, 다음 해결책에 대해서도 고심하고 있었어야 했습니다. 그런데, 그냥 모르핀에 의한 진통 효과가 정말 병이 낫게 한 것처럼 떠들어대고 있는 모습에 한심하기도 하고 걱정스럽기도 했습니다.
아무튼 이런 저런 생각을 하게 한 국제적 이벤트였고, 집안에서만 살펴보던 것을 거리에 나가 사람들과 호흡을 하며 살펴본 월드컵이었습니다. 좀 엉뚱하고, 어쩌면 바보스럽기도 한 생각일 수 있겠지만, 이런 생각을 한 사람이 저만은 아닐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안 그럴까요?
포스트가 마음에 드시면 추천을, 그리고 댓글 한줄을 부탁합니다
'문화 > 스포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꽈뜨로 아 우노(4-1), 아르헨티나 사람들 기가 살겠네 (20) | 2010.06.20 |
---|---|
세계 1위 브라질의 기쁨 (2) | 2010.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