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번 2009년 2월 7일 – 하루 동안의 Luau
129번 2월 7일에 루아우(Luau)를 갔다 왔습니다.
174번 2009년 4월 10일의 이과수 폭포 – 브라질 쪽
197번 이과수(큰물)가 아니라 이따구아수(큰돌) – 지구 온난화의 문제인가?
l 아르헨티나 폭포 관련 포스트
109번 San Martin 섬으로 건너가다 – 아르헨티나 이과수 폭포
l 이과수 폭포 주변과 관련된 포스트
105번 Orquidario – 이과수에 있는 난초나라
122번 Recanto dos Cactos – 고부갈등이 이런데까지???
124번 Rafain Show – Variety Latin America Culture Show
128번 Siesta – 라틴 아메리카를 여행하시는 분들에게
136번 브라질의 명소들 – Iguassu National Park의 위치
171번 Airport Puerto Iguazu – 이과수로의 관문
176번 우정의 다리(Puente de la Amistad)
183번 Rodoviaria de Foz do Iguassu
189번 Terminal de Omnibus, Puerto Iguazu
194번 Porto Foz do Iguassu – 잊혀진 항구
198번 Terminal de Omnibus, CDE Paraguay
l 식물과 동물 및 특산물
110번 Araucaria – 브라질 소나무, 촛대나무, 파라나 소나무
119번 Ñandutí – 파라과이 최고의 문화 상품(일명: Tela de Araña[거미줄])
120번 Chipa 이야기 – 사람에게는 물질이 얼마나 필요한가?
130번 콰치, 코에티, 코코티 – 이과수 공원의 귀염둥이
142번 Tegu가 뭔지 아세요? Lagarto Overo: Teyu-Guazu
l 여행기
159번 부에노스 아이레스로의 여행기 – 주말편 – 아사도 먹기
160번 부에노스 아이레스로의 여행기 – 주말편 – 한식과 일식
l 문화 및 생활
103번 Luigi Bosca - 아르헨티나를 대표할 수 있는 또다른 와인(3)
113번 이과수 전설 – 뱀과, 여자, 그리고 남자 ㅎㅎㅎ
115번 Café Colonial – 브라질 남쪽에서 시작한 독일식 문화
120번 Chipa 이야기 – 사람에게는 물질이 얼마나 필요한가?
128번 Siesta – 라틴 아메리카를 여행하시는 분들에게
147번 Baviera 예찬 – 오늘같이 더운 날에는 최고!!!
151번 2009년 3월 10일 ~ 20일 : 부에노스 아이레스를 방문합니다.
153번 Argentino 이야기 – 자기 나라 사람을 비하하는 이야기
168번 아르헨티나 영화 – Gigantes de Valdes
177번 델 에스떼에서 간단히 떼우기 – 아랍 음식으로
l 사진 모음
104번 12월 – 이과수의 여름 – 거리의 풍경(1)
106번 12월 22일 뿌에르또 이과수(Puerto Iguazu – Argentina):불꽃놀이
l 환경 및 기후
114번 포즈 두 이과수 – 온난화 탓인가? 기후변화가 넘 심하다
197번 이과수(큰물)가 아니라 이따구아수(큰돌) – 지구 온난화의 문제인가?
l 삼개국 비교, 나라, 도시, 사람들.
165번 Buenos Aires의 시내 지리 가이드북 소개
170번 Puerto Iguazu에 새 집이 들어섰습니다. – 이것도 뉴스라고…..
188번 국경 상태로 본 브라질 사람, 아르헨티나 사람, 파라과이 사람
l 상업 및 경제
101번 Hotel Carima - 공작새가 뛰어노는 정원이 있는 호텔 소개
102번 Vivenda de Camarao - 새우 요리를 좋아하세요???
116번 Queijo e Cia – Café Colonial을 즐길 수 있는 곳, 그보다….
117번 Hotel 3 Fronteiras – 포즈를 알기 위한 가장 좋은 장소의 호텔
145번 Rafain Chopp – 맥주가 땡기는 분들을 위해 ^^
192번 레스토랑 Porto Canoa – 이과수 국립공원속의 럭셔리
안 읽어보신 것들이 많습니까? 그렇다면 번호를 클릭해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앞으로 발행이 되는 것은 RSS로 추가해서 읽어보신다면 빠뜨리지 않게 될 것입니다. 자 이제 새로운 마음으로 201번부터 시작해 볼까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남 국수를 좋아하십니까? (14) | 2009.08.31 |
---|---|
아르헨티나 한인 사이트 2. Kornet (2) | 2009.08.24 |
200번째 포스트 - 라틴 아메리카 이야기 Index (25) | 2009.05.10 |
포즈 두 이과수의 일요일 풍경 (4) | 2009.04.25 |
Buenos Aires 도로의 모양에 대한 글 (32) | 2009.04.06 |
이과수 관광 스케줄 (4) (14) | 2009.03.04 |
댓글을 달아 주세요
후와~~~대단합니다+_+!! 날잡고 하나씩 구경해봐야겠어요. 우와,,,,엄청난 이야기들..^^
2009.05.10 22:23부끄럽습니다. 날잡고.... 아무튼 200번째 index를 만들면서 뭐가 이렇게 많았나 싶습니다. ㅎㅎㅎ
2009.05.11 12:01 신고200번째 포스트 축하드려요^^.
2009.05.10 22:38참, 꼼꼼하게도 정리를 잘 해 주셨네요.
juan님 오늘은 조금 다른 질문을 하나 드리겠습니다.
최근 브라질에 계신 클라이언트로부터 개발요청을 받는게 있는데 juan님께 여쭤보면 제일 좋을것 같아 결례를 무릅쓰고 글 드려봅니다.
브라질 포함 남미지역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검색엔진이 야후, 구글이 맞나요?
그리고, 해당 검색엔진에 사용되는 언어가 영어, 포르투갈어,스페인어가 서비스가 되는지요?
제 상식에서는 영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를 혼용해서 사용하는걸로 아는데
인터넷에서는 어떤지 궁금해서요.
프로그램 개발을 하다 보니 이제는 어문학 분석까지 들어와 버렸네요^^.
감사합니다. 그리고, 남미 지역에서 가장 많이 쓰는 검색 엔진은 야후와 구글이 맞습니다. 저 역시 야후와 구글을 제일 많이 씁니다. 그리고 야후와 구글이 스페인어와 영어 포르투갈어를 구별하지 않고 검색을 해 주기 때문에 옵션을 "포르투갈어 사이트에서만" 혹은 "아르헨티나 사이트만" 혹은 "브라질에서만"이라고 합니다. www.google.com 이나 www.yahoo.com 에서 검색하기도 하지만, 지역마다 국가를 지칭하는 부분을 더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예를 들어 제 즐겨찾기 부분에는 www.yahoo.com.ar 과 www.yahoo.com.br 이 따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각각의 경우 야후인데도 메인 페이지가 다르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구글의 경우는 메인 페이지가 같기는 하지만 www.google.com.ar 아르헨티나
2009.05.11 12:10 신고www.google.com.br 브라질
www.google.com.uy 우루과이
www.google.com.py 파라과이
www.google.com.bo 볼리비아 식으로 나라마다 다르지만 실상 검색을 해 보면 검색 내용은 스페인어권은 다 같습니다. 브라질의 경우도 내용이 같지만, 따로 "포르투갈어 페이지만"이라고 옵션을 놓고 검색을 하면 포르투갈어 페이지들만 나옵니다. 그게 좀 다르다고 해야 하나요?
대답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따로 궁금하신게 있으시다면 언제든 구체적으로 물어보시기 바랍니다.
전문적인 답변 끝내 줍니다.^^
2009.05.11 19:01너무나도 감사합니다.
2009.05.11 20:43현지에 계신 클라이언트 기업에서 원하시는것이 브라질 현지인들 사이에 인터넷을 통해 전파되고 있는 입소문(바이럴) 동향 분석인데요, 이 때문에 고심중이였습니다.
한국어의 경우 기업 평판관리 시스템을 개발해서 사용중인데, 이를 현지화 시킬려면 언어적 문제가 관건입니다. 그래서 궁금하던 차에 제 곁에 juan님 같은 든든한 이웃이 있다는 생각이 먼저 났습니다^^.
궁금한 점 한 가지 더 여쭙겠습니다.
한국어의 경우 '긍정'과 '부정'으로 나눌때 항상 고민스러운 부분이 우리나라 특유의 '반어법'인데요. 전체적으로 사용된 어휘는 긍정적 단어를 더 많이 사용한 글이지만 전체적 메시지 핵심은 반어법으로 접근한 부정적 견해의 글에 대한 필터링이 문제라는 것인데요. 혹시 포르투갈어에도 이러한 표현이 들어가나요?
영어의 경우는 오히려 한국어보다 단어(키워드) 하나 하나에 의미가 딱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 비교적 이 작업이 더 쉬운데 포트투갈어는 어떤지 궁금하네요. 가능하면 저희가 확보하고 있는 한국어 바이럴 키워드 사전을 포르투갈어로 대체시킨 후 한국에 적용한 시스템을 그대로 현지화로 구현해 볼 생각인데요. 미리 포르투갈어에 대해 기초 정보를 알아두면 혹시 있을지 모르는 시행착오를 줄이는데 큰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장문의 글로 친절하게 설명해 주신데 거듭 감사드리구요. 추가 조언도 부탁드립니다.
포르투갈어뿐 아니라 대부분의 언어는 반어법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만, 한국과는 달리 뉘앙스가 그렇다는 것이구요. 문장에서 Não("농"이라고 읽는데, 뜻은 영어의 No 입니다.)가 들어가면 부정이 되어 버립니다. 한국에서는 "너 한국인이지?"에 "아니" 라고 대답하면 한국인이 아니고, "너 한국인 아니지?" 에 "아니"라고 하면 한국인이 되어 버리죠. 하지만, 포르투갈어에서는 "너 브라질 사람이지?" "아니"의 경우나 "너 브라질 사람이 아니지?"에 대해서 "농"이라고 할 때나 마찬가지로 브라질 사람이 아닌게 되어 버립니다. 영어 하고 비슷하죠?
2009.05.11 22:19때문에, 브라질, 혹은 아르헨티나에서 태어나서 자란 한국계 아이들을 보면 한국어를 할 때도 이런 점들이 문제가 됩니다. 아이들을 상대할 때나, 이민 오신지 오래되신 분들을 상대하실 때는 그들의 긍정이나 부정이 정확하게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를 다시 한 번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잘못하다가는 뜻이 정 반대로 전달되는 경우도 있답니다.
키워드의 경우, 동사의 변화가 문제가 될 수 있어 보입니다. 영어의 경우는 동사의 변화가 아무래도 스페인어나 포르투갈어보다는 덜 하기 때문이죠. 포르투갈어는 1, 2, 3인칭 단수와 복수가 모두 변화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키워드 검색에서는 비슷한 단어가 들어가 있으면 검색을 해 줍니다. 예를 들어 "제품을 광고하기 위한 방법"이라는 키워드를 썼다고 가정한다면 포르투갈어로 "O metodo para anunciar o produto" 라고 할 수도 있고 "A anunciação do produto, seu metodo"라고 할 수도 있겠는데요. 그 경우 Anunciar, 혹은 anunciacao, anuncio, anuncamento, anuncie 등등의 경우들도 모두 검색이 됩니다. 결국 핵심이 되는 키워드가 존재한다면 훨씬 빠르기는 하겠지만, 비슷한 키워드를 사용한다면 결과는 비슷할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대답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명강의를 해 주셨네요^^.
2009.05.11 23:21뭐라 감사 인사를 드려야할지 모를 정도(이럴 때 표현할 수 있는 최상급 포르투갈어가 뭔지는 모르겠지만 무지무지 엄청나게 감사합니다^^)
그렇잖아도 키워드 사전 DB화가 관건일 것이라 예상하고 있습니다. 진도를 빨리 나갈 수 있도록 조언해 주신데 거듭 감사 드립니다. 한국에는 지금 이틀째 비가 비가 오네요. 항상 건강하세요.
덧) 정리해 주신 포스팅 중에는 이미 전에 읽었던 글도 있지만 아직 보지못한것도 있네요. 시간나는대로 봐야겠습니다.
라틴 아메리카 이야기에 점점 더 데이터가 쌓이는 모습을 보니 제가 더 흐믓합니다. 300번 400번 더 나아가 3000, 4000번째 포스트 기대하겠습니다. 화이팅~!
2009.05.11 00:22예, 감사합니다. 끄루또이님.... 저두 10000번까지 포스팅을 하기를 기대합니다. ㅎㅎㅎ
2009.05.11 12:11 신고제가 심히 부끄러워지는 순간입니다.
2009.05.11 19:02정말 대단합니다. ^^
Juanpsh님 화이팅입니다.
바누아투의 블루팡오님이 부끄럽다뇨... 저는 항상 바누아투 이야기를 읽으면서 야~ 이렇게 재밌게 글을 쓰실 수 있다니... 라면서 감탄을 하고 있는걸요. 보잘것 없는 블로그를 방문해 주시고 칭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ㅎ
2009.05.11 22:22juan님 답글보고 궁금해서 방문했더니 정말 좋은 글이 많으시네요^^. 쨉싸게 블로그에 링크달고 구독신청했습니다.
2009.05.11 23:18대단하십니다.^^ 정리를 너무 잘해두셔서 많은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ㅎ
2009.05.11 23:05감사합니다. 처음 100번째 포스팅을 하면서 이렇게 해 두면 나중에 참조하기 좋을 거라고 생각했었습니다. 그래서 200번도 이렇게 한거고 앞으로 300번 400번도 이렇게 할 생각입니다. 500번쯤에서는 전체 Index도 한 번 만들어 볼 생각입니다. 시간이 될지는 모르겠지만요. ㅎㅎㅎ
2009.05.12 11:18 신고이과수 200회 포스팅, 쉽지 않은 일인데 큰일 했습니다. 어제 인터넷에서 보니까 이과수 폭포는 가믐에 강바닥이 보일정도록 포포수가 줄었다던데 어떤지 궁급합니다.
2009.05.12 02:01최근에 제가 올린 사진을 못 보셨나 봅니다. http://latinamericastory.com/197 기사하고 http://segyewa.com/182 에서 서로 다른 사진과 기사를 게재했습니다. 한번 들어가 보시기 바랍니다.
2009.05.12 11:21 신고200회 포스트 축하드립니다..
2009.05.12 02:22정말 대단해요.. 저도 많이많이 올려서
100번째랑 200번째 자랑하고 싶어요 ㅠ.ㅠ
하하하, 시간이 지나면 당연히 그렇게 되겠지요. 근데, 저는 뭐가 그렇게 급했는지 6개월이 안되서 100개를 썼네요. ㅎㅎㅎ
2009.05.12 11:22 신고100번째 포스팅이 엊그제 같은데 말이죠.
2009.05.12 08:43 신고스킨도 바뀌고 여러가지가 바뀐거 같기도 하고.ㅎ
여하튼 축하 드립니다.
전, 나중에 2000회 포스팅이나 이벤을 함 열까요?ㅋ
하려면 머나멀군요...500회는 더.ㅡㅜ
와우~ 500번을 더 쓰셔야 한다니.... 그래도 시간이 조금 지나면 언제 그랬냐는 듯이 2000번을 쓰실 수 있을 겁니다. Let's go~!!!!!
2009.05.12 11:22 신고200번째 포스팅 축하드려요~~ ^^
2009.05.15 19:07새로 바뀐 블로그 스킨도 멋진데요~~ ^^
앞으로도 풍성한 이야기 기대할게요~~
감사합니다. 라라윈님. 새로 바뀐 블로그 스킨은 사실 제 작품이 아닙니다. 태터앤미디어측에서 제공해 준 건데,수정을 요구했는데, 아직 수정이 되고 있지 않네요. 바빠서 그런가본데.... 암튼 좀 그렇습니다. 방문 감사합니다. 잘 지내시죠?
2009.05.18 09:29 신고참 우리 형 대단해!!!!!! 미안해요 넘 요즘 진짜 뜸해서!!!
2009.05.18 22:13뭐, 너두 바쁘잖냐? 그나저나 200개나 글을 썼다니, 나두 정말 대단하다. ㅎㅎㅎ
2009.05.19 15:07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