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이 슬슬 끝나가고 있다. 포스로 돌아오기 이틀 전이었던 화요일 아침. 미리부터 약속을 잡아놓았던 하루를 시작한다. 이 사무실은 아베쟈네다 상가 인근의 광고 및 디자인 회사를 운영하는 친구의 사무실이다.
Cre'Art라는 상호를 가지고 있는데
멋있는 이름이다. 첨에는 모자에 수 놔주는 것으로 시작했는데, 지금은 회사 로고제작과 간판 및 대형 배너 그리고 웹 기반의 광고와 팜플렛제공까지 아주 다양한 사업을 하고 있다. 아르헨티나에서는 좀 특이한 직업을 가진 친구다....
이 친구와 부에노스 아이레스 곳곳을 쏘다녀 보자는 제안을 했고, 어차피 쏘다녀야 될 친구와, 쏘다닐수록 좋은 내가 약속을 잡게 된 거다. 차도 없고, 면허증도 없어졌으니, 운전사도 필요하고 말이다. ㅋㅋㅋ
웹 기반의 디자인을 하고 있는 직원들.... 리까르도, 이거 보구 있냐? 너네 회사 엄청 광고하고 있다. ㅎㅎㅎㅎ... 이 회사의 웹 사이트 주소는
http://www.creart2000.com 이고 현재 제작하고 있는 아베쟈네다 상가 정보 페이지는
http://www.onlineavellaneda.com.ar 이다. 이 페이지는 4월 말에 열릴 거라고 한다.
그렇게 처음 간 곳은 Recoleta 였다. 한국인들에게는 레꼴레따 묘지로 더 잘 알려진 곳인데, 묘지 부근에서 주차를 시켜 놓았다.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시내 주차는 저렇게 생긴 기계에 동전을 넣고 흰 티켓을 차 안에 넣어두면 되는 것이다.
레꼴레따 묘지 뒤편으로 길게 뻗은 담벼락. 내 친구는 이런 곳을 찾고 있었다고 한다. 시간이 흘러도 변하지 않을 것 같은 그런 곳..... 나하고는 취향이 좀 다른 친구다. ㅎㅎㅎ
레꼴레따는 단지 묘지만이 있는 것이 아니다. 묘지 부근으로 디자인 센터가 있고, 박물관도 있고, 고급 식당과 서점, 카페, 극장들이 줄지어 서 있다. 여러 문화 콘텐츠들이 있다보니 쉴 공간도 있고 거리의 악사나 화가들이 공연이나 전시를 하는 곳들도 있는 것이다.
오늘은 아침이어서 그런지 거리가 좀 한산했는데, 그 한산한 속에서도 플루우트를 부는 저 음악가가 계속 공연을 하고 있다. 불쌍하게도, 관객이 하나두 없다.... 사진을 찍어주는 나 뿐....
레꼴레따 지역에는 공원도 많이 있다. 이 동상은 디자인 센터 앞에 있는 공원 중앙에 놓여 있다. 다른 곳들의 동상처럼 이 공원도 낙서가 많았는데, 외국인 관광객을 배려해서인지 조금 지워놓은 상태였다.
차를 주차시킨 뒤편으로 있는 동상. 여기도 동상 옆과 위에 낙서가 가득하다. 낙서는 아르헨티나 문화의 한 가지 콘텐츠라고 이미 설명한 바 있다. ^^
동상 뒤편으로 가로등이 아주 달라서... 일반적으로 떠 받치고 있는 가로등인데, 이 녀석은 매달려있는 모양이다. 그래서 주변을 감시하고 있는 사설 경찰에게 가서 물어보았다. 내 눈이 틀림없다. 이 가로등들은 20세기 초반에 가로등이 설치되기 시작하면서 생긴 가로등이란다. 그 외의 가로등들은 1960년대 이후에 설치되었다 한다. 멋있지 않나? 가로등이???
여기가 레꼴레따 디자인 센터. 벽 면에 HardRock Cafe 광고가 붙어있다. 아침이니, 카페에 들어갈 일은 없고... 디자인 센터안으로 들어가 보았는데, 카메라 셔터를 한 번 눌렀더니 경비가 와서는 사진 찍지 말라고 강하게 주의를 준다.... 사진을 못 찍는다면.... 굳이 여기 있을 필요가 없다. 사진 찍으러 나온 거니까....
레꼴레따 끝 부분, 팔레르모 끝 부분에 위치한 Bellas Artes 박물관이다. 유명 화가들의 그림을 주로 전시하고 있는 곳이다. 부에노스 아이레스 살때, 몇 번 들어가 보았는데, 오늘은 들어가지 않았다. 그런데 브라질에서는 보지 못하는 광경이 눈에 띈다. (내 눈에 안 보였다는 뜻이다. 있는지도 모르겠다....)
바로 이렇게 개를 데리고 다니면서 산책을 시켜주는 사람이다. 고급 주택이 즐비한 곳이어서인지, 아무튼 주인이 시간이 없기에 대신 데리고 다니면서 산책을 시켜주는 것인데, 남자도 있고 여자도 있다.
한 사람은 내가 카메라를 들이댔더니 이렇게 사진을 찍으라며 가만히 서 있다. 저거.... 쉽지 않은 직업일텐데..... 돌아다니며 떠들고 사진도 찍고 하다보니 배가 고파진다. 그래서 자동차를 타고 벨그라노 지역으로 이동한다. 앞서 포스팅을 했던 중국촌 부근인데, 거기서 조금 더 가면 벨그라노 대학이 나오고, 그 지역은 꽤 괜찮은 주거 및 상가 지역인 것이다.
오늘 찾아가는 식당은 그 벨그라노 지역의 Jorge Newbery 1651 번지에 위치한 La Cuadra 라는 옛날 건물 속의 식당이다. 사진에서 좀 희미하게 보이겠지만, 흰 간판 위에 La Cuadra라는 글자가 보일 것이다.
예전에 마굿간처럼 생긴 곳이었는데, 각 방이 상가가 되어 있고, 마당에 이렇게 식당을 차려놓았다.
천장이 없었는데, 천장을 스테인드 글라스로 만들고 나무는 그대로 둔 채 식당으로 꾸몄다. 식당의 이름은 La Troupe라고 하는데, 내가 아는 스페인어, 포르투갈어로는 무슨 뜻인지 모르겠다. 아는 사람은 댓글좀 남겨주길.... 자리를 잡고 있는 친구. 결국 한 군데서 자리를 잡고 Menu Ejecutivo 라는 것을 시켰다. 이 식당의 정식으로 매주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점심시간인 12시~16시까지만 제공이 된다.
Menu Ejecutivo는 전식, 정식, 후식과 음료수 한 병을 포함해서 33페소다. 그래서 멘도사산 미네랄 워터를 시켰다.
전식으로 나온 Involtini de Berenjenas, Jamon, Mozzarella y Rucula. 햄과 치즈, 그리고 야채를 가지로 돌돌 말아 요리한 것이 나왔다. 보기도 좋고, 맛도 있다. 흡~!
그리고 나온 음식. 우리가 시킨 음식은 으깬 감자와 올리브를 곁들인 닭과 소시지 버무림. (Pollito a la calabreza con pure de papas y aceitunas) 보기에는 그저 그랬지만, 이 집 요리사는 1류인 모양이다. 맛있었다. 양도 조금인것 같았는데, 먹어보니 꽤나 푸짐하다. ㅎㅎㅎ
마지막으로 먹은 후식. 복숭아 파이와 아이스크림 한 조각인데, 그다지 달지 않으면서도 아주 좋았다. 기분 만땅.... 부에노스 아이레스에 가시면 벨그라노 지역의 이 식당을 한 번 찾아가 볼 것을 권한다.
식사를 마치고 다시 카메라를 들고 나선다. 이왕 온김에 팔레르모(Palermo)공원을 좀 찍어볼 생각을 했는데, 이 친구는 팔레르모는 별루인가 보다. 내릴 생각을 안하고 그냥 차로만 돌아다닌다. 그냥 차에서 땡겨본 몇 컷.
팔레르모의 한 대로변. 많은 나라들처럼 이 거리도 가변차선제를 운영하고 있다.
팔레르모 지역에 계속 들어서고 있는 고층 건물들.... 이 지역에 오면 아르헨티나가 개발도상국이란게 실감이 안난다.
피게로아 알꼬르따(Av. Figueroa Alcorta) 길에 위치한 동상. 저걸 내려서 잘 찍어야 했는데...ㅠ.ㅠ
팔레르모는 도심속에 위치한 공원으로는 세계 3번째로 큰 공원이다.(첫번째는 브라질 리오의 식물원이라는데 두 번째는 모르겠다.....ㅜ.ㅜ) 낮이나 밤이나 이렇게 나와서 걷고 운동하는 사람들을 볼 수 있다.
낮이라서 그런지 누운 사람도 보이고, 개들도 놀구, 아무튼 한가롭고 여유있는 풍경이다. 딱~! 남미 스타일이다. ㅎㅎㅎ
전화를 조금 주고 받더니 그 다음 데리고 간 곳은 사무실에서 그다지 멀지 않은 Av. Pedro Goyena 길에 위치한 Cafe Socrates 라는 곳이다. 이 뻬드로 고제나 길은 현재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남쪽에서 가장 좋은 주거지역으로 꼽히고 있다. 가로수가 우거진 거리위로 고층 고급 아파트들이 속속 들어서고 있는 가운데, 이 카페가 있다. 카페 전면에 철학자 Socrates 가 그려져 있는 카페의 바깥에 잠깐 앉았다. 화장실도 봐야 하니까..... 그리고 내친김에 커피도 한 잔....
커피잔과 넵킨에 있는 소크라테스 그림이 보이는가? 분위기는 그럴듯 하지만, 커피 맛은 그렇다ㅡ. (브라질에서 오니까, 커피 타박이 좀 심하다....) 이 카페는 내가 아르헨티나에서 청소년 시절을 보낼 무렵에 들어섰다. 그러니까 역사가 한 20년 되려나? 아직도 건재한 것을 보니까, 잘 되는 모양이다. ㅎㅎㅎ
이렇게 해서 하루를 보냈다. 이번 부에노스 아이레스 여행중에 처음 하루를 빼고는 이날이 유일하게 뛰어다니지 않은(서류 문제로) 날이었다. 그리고 밤이 되었다. 편안하게 하루를 보낸 그날 밤의 저녁 메뉴는 월남쌈.
이렇게 차려진 채소와 국수, 갖은 반찬을 다 쌀로만든 얇은 막에다 싸서 김밥처럼 싸든지 쌈처럼 싸든지 암튼 싸서 먹는 것이다.
이렇게 말이다. 주로 들어가는게 채소라서 많이 먹어도 소화되는 데는 문제가 없다는 초대해 주신 분의 설명에 열심히 먹다보니 배가 찼다. 예전에도 많이 먹어보았지만, 월남쌈은 정말 맛있다. 한국에서도 이거 많이 드시나???
열심히 먹고 있는 부모님과 우리 부부.... 음. 내가 찍은 사진이 아니라서..... 쫌 흔들렸다. ㅠ.ㅠ
이렇게 해서 여유있는 하루를 보냈다. 그 다음날에는 또 다시 영주권때문에 시내를 나가게 된다. 물론 목적을 달성할 수는 없었지만, 그래도 시내에 나간김에 다른 부분의 사진을 좀 찍게 되었다. 이제 부에노스 아이레스로의 여행기는 두 번의 포스트만을 남겨두고 있다. 그리고 나서는 이번에 관찰했던 아르헨티나의 문화에 대해서 다시 줄기차게 포스트를 할 생각이다. 여기까지 계속 읽어주신 분들에게 감사하고, 계속 관심을 가져 줄 것을 부탁한다.
내 블로그의 이전글들 목록을 모두 보고 싶다면
클릭
이과수 지역 여행에서 꼭 필요한 지침을 보고 싶다면
클릭
그냥 가면 어떡하우~! 댓글 한줄 부탁!!
추천도 부탁!!
댓글을 달아 주세요
근데, 아쉽다, 끝이라서... 또 갈거지?
2009.03.27 03:21 신고물론이지... 끄덕끄덕... ^^
혼자 물어보고 대답하고 끄덕끄덕까지... ㅎㅎㅎ
2009.03.28 19:48그럼... 부모님 계시는 곳인데 또 가겠지. 하지만 그보다 먼저 상파울로나 꾸리찌바 혹은 아순시온을 먼너 갔다오지 않으려나? ㅎㅎㅎ
오옷.. 정말 많이 포스팅 하셨네요.
2009.03.27 05:16지금은 시간이 없어서 좀 그렇고..
내일 한번 쭈욱~ 읽어볼게요.^^ ㅎㅎ
예, 그렇게 하세요. 아르헨티나 여행이라는 것이 관광객의 입장하고는 다르니까, 더 신기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ㅎㅎㅎ
2009.03.28 19:59아~ 온천장이 맘에 쏙 드는군요~ 몸이 노곤노곤 해지면
2009.03.27 11:43바로 방에가서 한숨자고.. 피로가 싹 풀리겠어요~
온천물이 좋긴 한가봐야. 1주일이 지났는데, 아직도 피부가 매끈매끈한걸 보니 말이죠. ㅎㅎㅎ
2009.03.28 20:00캬 멋진데요. 저도 여행일정을 자유로 짜는걸 좋아하지만 제일 불안한게
2009.03.27 11:50숙소에요; 숙박이 예약이 안되어 있으면 전체적으로 불안해진다고 할까요;;;
제 경우는 거의 모든 것을 준비를 하고 다닙니다. 스케줄, 차편, 비상상황에서 대체할 수 있는 방법, 시간때우기용 서적 등등... 숙박을 예약하지 않고 무작정 떠나는 것은 외국에 나와 있는 일반 한국인의 특징중 하나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ㅎㅎㅎ
2009.03.28 20:02여행..머얼리..가고싶답니다..
2009.03.28 01:30해바라기 정말 탐스러워요
하늘에 빠지면 카메라에도 잡히나봅니다..ㅎㅎ..
잠자리 하늘 속에서 카메라 속으로..쏘옥..
잘..지내시지요..
그럼요, 도깨비섬님도 잘 지내시죠? 요즘 포스팅 때문에 이웃 블로그를 잘 방문을 안 했습니다. 이제 여행기를 끝냈으니, 다음주에는 이웃 블로그들을 한 차례씩 방문할 생각이랍니다. 곧 뵙겠습니다. ㅎㅎㅎ
2009.03.28 20:034월 초순에 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로 일주일 정도 전공관련 서적의 구매와 여행을 겸하여 가려하는 사람입니다...Juan님의 블러그를 통해 많은 정보와 좋은 글...그리고 아름다운 사진들 너무 재미있게 구경 잘 했습니다...감사 드립니다...
2009.03.28 14:23전공이 무엇인지 모르겠지만... 초행길이시라면, 곧 포스팅을 할 생각인데, 부에노스 아이레스 가셔서 꼭 지참하시면 도움이 될 가이드 북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버스 노선도 나오는 책이니까 아주 많이 도움이 될 듯 합니다. 방문 감사합니다.
2009.03.28 20:04ㅎㅎ..잠자리..김치도..그리고 차창에 비친 모습..
2009.03.29 22:57넓은 곳이라 탁트여서 시원하네요
그럼요. 아르헨티나는 정말 평원의 나라라고 할 수 있습니다. 러시아가 그렇다고는 하지만, 툰드라가 많은데 반해 아르헨티나는 정말 목초지가 끝없이 펼쳐져 있지요. 우리내 조상은 왜 이런데 나라를 건설하지 않았는지 모르겠습니다. ㅎㅎㅎ
2009.03.31 08:48 신고지평선을 보는게 하나의 꿈이기도 한데...
2009.03.30 00:24 신고한국에서는 산이 없는 지평선 보기가 거의 힘들죠 ^^
한국에서도 호남평야에서는 지평선을 볼 수 있지 않나요? 초딩때 그렇게 배운거 같은데요.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지평선을 볼 수 있는 곳.....
2009.03.31 08:48 신고파란하늘과 온천수를 보니
2009.03.30 02:21물놀이 하고파 집니다.ㅎㅎ
행복한 한주 되세요~
안녕하세요, 빛이드는 창님. 온천으로 수영장을 만들어서 겨울에도 아주 놀기가 좋답니다. 이번에는 여름에 갔지만, 다음에는 겨울에 한 번 가보고 싶습니다.
2009.03.31 08:50 신고흑.. 멋지네요. 지금 호주에 있지만, 돈 없어서 학교 <--> 홈스테이만 왔다갔다 하는 지라. ㅠㅠ (망할 환율. ㅠㅠ)
2009.03.30 08:19그렇군요. 환율때문에... 여기도 환율이 많이 뛰었지만, 사는데는 크게 변화를 못 느끼겠더군요. 미화로 벌어서 쓰는게 아니라서 말이죠. 하지만, 유학을 갔다면 상황이 다르겠죠. 아깝게 호주까지 가셨으니 열심히 공부하시길...
2009.03.31 08:51 신고출장으로 남미는 참 많이도 다녔는데, 사실 가본 곳은 별로 없어 이 글을 읽고 있으면 옛날생각이 새록새록 납니다. 아르헨티나에서는 우리 대리점이 시원치 않아 마음 고생도 많이했었고, 브라질은 자동차 공장 짓겠다고 많은 주를 찾아 다니면서 협상을 벌이기도 했었지요. 꼭 한번 더 가볼려고 합니다. 인연이 되면 Juan님도 만나게 돌꺼구.. 오부리가~도.
2009.03.30 09:43아마도 아르헨티나 사람들의 캐릭터 때문에 고생을 하셨을 것입니다. 남미의 천혜의 땅과 자원을 가지고 있는데, 사람들은 좀 오만하고 유색인종을 깔보는 경향이 많아서요. 그래서.... 오늘날 그렇게 고생하고 있는 것인가 봅니다. 그래도 자존심만큼은 계속 고수하고 있더군요.
2009.03.31 08:52 신고40도...ㅎㄷㄷ이네요..^^
2009.03.31 01:58식구들과의 여행..즐거우셨겠어요. ^^
뭐, 대부분의 온천수가 그 정도 온도 아닌가요? 하긴 제가 갔던 Villalonga 라는 곳의 소금 온천은 땅에서 나올때 온도가 74도 라고 하더군요. 그건 정말 삶아 죽일 수 있는 온도지요.. ㅎㅎㅎ
2009.03.31 08:53 신고저도 폭포에서 물맞고 싶어요.ㅡㅜ
2009.04.02 05:52 신고요즘 어깨랑 허리가 영 부실해서.ㅎㅎ
온천폭포에서 마사지 받는거.... 많이 맞으면 오히려 몸이 더 힘들던데요? ㅎㅎㅎ
2009.04.03 08:57 신고후~ 잘 읽었습니다. 즐거우셨겠어요. 물가가 비교적 저렴한거 보고 놀러가고 싶은 마음이 잔뜩 생겼으나 비행기값이 무서워 보류해야겠습니다. 나중에 여행기 참고하면 딱이겠네요.
2009.04.08 07:05그럼요, 여행기에서 뽑을 것은 다 뽑아서 쓰십시오. 그리고도 더 인포메이션이 필요하시면 제게 메일을 띄어 주시구요. ㅎㅎㅎ
2009.04.08 16:30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