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쟈롱가 가우초 호텔에서 뜨거운 온천수와 함께 아침 식사를 간단히 한 후에 다시 차를 타고 Ruta 3로 나왔습니다. 그리고 다시 남쪽으로 남쪽으로 내려갑니다. 이제 추운 겨울이라는 것이 실감이 나는 지역으로 온 것입니다. 바깥의 풍경은 황량한 벌판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 지역으로는 도시도 별로 없어서 도시와 도시 사이의 들판들은 그냥 황량함의 연속이라고 보여집니다.

점심 시간쯤 되어서 부에노스 아이레스 주와 리오 네그로 주의 경계가 되는 콜로라도 강 Rio Colorado 에 도착했습니다. 콜로라도 강 사이에는 부에노스 주의 마지막 도시인 카르멘 데 파타고니아 Carmen de Patagonia와 리오 네그로 주의 첫번째 도시인 비에드마 Viedma가 마주보고 있습니다. 콜로라도 강 이남을 남미에서는 파타고니아라고 부릅니다. 그게 아르헨티나든 칠레든요.

파타고니아의 의미?
파타(Pata)는 스페인어로 "발"을 의미합니다. 발바닥으로 쓰이기도 하죠. 거기에 곤(-gon)이 붙으면 "큰 발"이란 의미가 됩니다. 영어로 빅풋과 같은 단어가 되는 거죠. 그 다음 니아(-nia)는 앞의 단어에 붙어 "(그들의)땅" 이라는 단어가 됩니다. 즉 파타고니아 라는 단어는 "큰 발을 가진 (사람)들의 땅"이란 의미가 있습니다.

왜 이 지역이 큰 발을 가진 사람들의 땅이 되었느냐구요? 몇 가지 설이 있는데, 남미 대륙을 발견할 당시 이곳에는 정말 큰 발을 가진 사람들이 있었다는 이야기와, 서구 사람들이 이 대륙을 발견했을 무렵 이곳 주민들을 보고 놀란 나머지 큰 발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착각했다는 이야기... 가 있습니다만, 아무튼 지금은 모두 파타고니아라고 부른다는 거만 아시면 됩니다. ^^

비에드마는 한때 연방 정부에서 수도 이전을 고려했던 도시이기도 합니다. 물론 불발이 되어 버렸지만, 그래서 발빠른 사람들은 비에드마에 땅을 사놓기도 했었더랬죠. 아무튼 두 개의 서로 다른 도시가 붙어 있다면, 하나는 주거지로, 또 다른 도시는 상업 중심지로 발전하게 됩니다. 이 경우에는 비에드마가 상가가 되었고, 까르멘 시는 주거지가 된 모양입니다.

두 도시의 모습이 어떨지 궁금하시죠? 구글 이미지에서 두 도시를 캡쳐해 봅니다.






당시 점심을 먹은 뒤 차를 끌고 비에드마 시를 돌아다녔는데, 제법 멋진 집들과 풍경이 많았습니다. 당시에도 디지털 카메라를 가지고 있었더라면 부담없이 사진을 많이 찍었을텐데, 그당시에는 필름 카메라를 가지고 있었던 탓에 그냥 인물 사진만 두어장 찍었습니다.

기억에 남는 광경은 강 건너 카르멘 시였는데, 성당 옆으로 지그재그로 된 길이 보였다는 거죠. 지금도 있는지, 아니면 제 기억이 잘못된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점심을 먹고 나서는 다시 Ruta 3을 따라 달려갑니다. 남미 대륙의 지도를 보면 이 부근에 Γ 모양으로 된 곳이 있는데, 그 앞의 바다는 산 마티아 만 Gulf of San Matias 이고 꺾어지는 부근에 어업 기지이자 해변가도 좀 있는 산 안토니오 델 오에스떼 San Antonio del Oeste 라는 도시가 있습니다. 겨울철에 지나가고 있었고, 우리 목적지가 아니었기 때문에 그냥 스쳐 지나갔지만, 한국인들이라면 관심을 가져볼만한 곳입니다. 첫째로 여름 휴가를 보내기에 좋은 기후를 가졌구요. 해변가와 또 해변가 근처의 동굴이 유명한 곳입니다. 하지만 그것이 다가 아닙니다. 제일 좋은 것으로 조개가 지천으로 널려있는, 그것도 대합조개가 지천으로 널려있는 도시입니다. 그렇다고 이번 여름에 가 보라는 뜻은 아니구요. ^^;; 산 안토니오시의 사진도 좀 보여 드립니다.




멋진 곳 아닙니까!

산 안토니오를 지나서 남쪽으로 직행하는 도로를 따라 계속 내려가면 리오 네그로 주를 지나 추붙 주로 들어가게 됩니다. 추붙으로 들어가기 전, 왼쪽으로는 이전에 광산으로 쓰였던 곳이 있습니다. "쓰였다"는 표현이 이상합니까? 지금은 그냥 폐광이 아니라 관광지로 사용이 되고 있습니다. 지금도 기억이 나는 도로변의 안내문에는 "지구 내부로의 여행" 이라는 문구였습니다. 좀 알았더라면 한번쯤 들려볼 것을, 그냥 스쳐 지나가면서 표시만 했던 것을 기억합니다. 광산의 이름은 Mina Hiparsa 입니다.

해가 뉘엿뉘역 기울 때 자동차의 미터기는 뿌에르또 마드린 Puerto Madryn 에 거의 다 왔음을 보여 주고 있었는데, 한참을 당황했습니다. 도무지 도시 비슷한 것을 볼 수 없었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이정표가 알려주는대로 계속 차를 몰았습니다. 남은 구간이 10km 미만이 되었는데로 도시가 보이지 않았습니다. 왜 그랬는지 아시겠습니까?

제일 위의 사진을 보시면 저희 부부 사진 옆으로 도시 형태가 보일 것입니다. 뿌에르또 마드린 시는 고속도로가 있는 지점에서 수백미터 아래쪽에 위치해 있습니다. 그래서 도로에서는 도시가 안 보이는 거죠. 그 사실을 알고 사진을 안 찍을 수는 없었습니다. 그래서 인증샷을 하나 만들었던 거죠.


뿌에르또 마드린의 겨울은 일찍 찾아옵니다. 저희가 갔던 6월 초에 이미 기온은 영하의 날씨였습니다. 저희도 가지고 갔던 가장 두꺼운 옷들을 꺼내 입고 지냈습니다. 한 여름이 성수기여서, 우리가 갔던 마드린 항은 너무 쓸쓸했는데, 게다가 추워서 고생을 합니다.

그리고, 연료를 아끼기 위해서였는지, 호텔 - 도시에서 그래도 괜찮다고 여기는 별 3개짜리 - 에서는 밤중에 히터를 끄는 바람에 아주 춥게 잤던 것도 기억합니다. 지금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아마 크게 변화는 없을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아르헨티나 남쪽으로 여행을 하시려면 가능하다면 여름에 하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말씀 드리는 이유는 단지 춥기 때문이 아닙니다. 다음 포스트에서 그 이유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여행기가 좋았습니까? 댓글 한 줄 해 주세요.


,

자동차를 겨우 겨우 부에노스 아이레스까지 끌고 와서는 카센터에 맡겼습니다. 그 다음날부터 당장 일을 시작한 것은 아니었지만, 부서진 부분을 고치고 추운 지역으로 내려가야 하기 때문에 보충해야 할 부분들과 평소 문제가 있었던 부분을 모두 고쳐서 여행할 준비를 마친 것은 5월이 거의 끝나갈 무렵이었습니다. 자동차가 마련되자 만나고 싶었던 몇몇 사람들을 만나고, 또 여행 준비를 한 다음 5월 30일 새벽에 부에노스 아이레스에 있는 부모님 집에서 출발하게 됩니다.

일단 목적지는 뿌에르또 마드린 Pto. Madryn 까지 가는 것이지만 거리상으로 1300km 거리이기 때문에 그렇게까지 갈 수는 없을 것으로 보고 출발을 했습니다. 남쪽으로 내려가는 제일 좋은 길은 에쎄이사 Ezeiza 쪽으로 205번 도로를 타고 가다가 까뉴엘라 Canuela 에서 3번 도로로 내려가는 것입니다.


3번 도로를 따라 딴딜 Tandil 로 해서 뜨레스 아르로죠 Tres Arroyos 를 통해 바이아 블랑까 Bahia Blanca 를 통과해서 내려가면 좋겠지만, 저는 계속 지평선을 바라보고 여행하는 것보다 딴딜을 가기 전에 아쑬 Azul 에서 길을 바꿔 51번 도로를 따라 시에르라 데 라 벤따나 Sierra de la Ventana 로 가는 길을 따라 가면 더 좋은 광경을 보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시에르라 데 라 벤따나를 지나서는 바이아 블랑까로 가는 33번 도로를 따라 내려가면 되는 거죠. 여기서 잠깐, 시에르라 데 라 벤따나가 어떻게 생겼는지 좀 보여 드릴까요?



부에노스 아이레스 주에서는 보기 드문 광경이 바로 시에르라 데 라 벤따나에 있습니다. 저는 총각때부터 여기를 몇 번 와봐서 익숙한 곳인데, 산을 탈 수 있는 코스 정상에 창문처럼 구멍이 있기 때문에 벤따나 La Ventana 즉 창문이라는 단어가 붙어 있는 곳입니다.

아래쪽 마을에는 좋은 경치와 공기를 두고서 여러 호텔과 시설들이 있습니다. 여유가 있으신 분들이라면 이곳에서 하루쯤 묵어가는 것도 좋을 거구요. 아예, 여름 바캉스를 이곳에서 보내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아무튼 저희는 이 길을 통해 바이아 블랑까로 향합니다. 바이아 블랑까는 부에노스 아이레스 주 남단의 제일 큰 항구 도시입니다. 그런데 날씨가 쌀쌀해서였을까요? 주유소의 직원이 아주 쌀쌀맞은 겁니다. 그리고 바이아 블랑까를 지나면서부터는 땅 역시 달라집니다. 가끔씩 보이는 들판의 웅덩이 바깥쪽에는 하얀 무엇인가가 보여집니다. 날씨가 추워서 얼음이 언 것이 아니라, 여기서부터는 가끔씩 소금층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즉, 하얀 것은 결정이 된 소금 덩어리인 셈이지요.


그렇게 달려서 부에노스 아이레스로부터 900km 지점까지 왔습니다. 이곳의 지명은 비쟈롱가 Villalonga 이고, 조그만 촌락이지만, 이곳은 제가 기억하는 소금 온천장이 있는 곳입니다. 한 번 온적이 있었는데, 기억을 더듬어서 온천장으로 갑니다.

비쟈롱가에 있는 소금 온천장의 이름은 가우초 Gaucho 입니다. 땅 속에서 물이 나올때의 온도는 자그마치 섭씨 74도 입니다. 이 정도면 사실 사람이건 동물이건 죽을 수도 있는 온도지요. 그래서 호텔(?) 측에서는 물을 식혀서 수영장(?)으로 들여보냅니다. 42도 정도로 식혀서요. 염도는 바닷물의 6배 정도 됩니다만, 물이 아주 미끈미끈합니다. 희한한 것은 온천이 나오는 샘에 달걀을 넣어보면 흰 자는 안 익고 노른자만 익는다는 거죠. 온천 측에서는 그걸보여주면서 사람도 겉이 아니라 속이 낫는다고 설명을 하는데, 믿거나 말거나....


아직까지도 인터넷에 등재도 안 되어 있는 온천장입니다. 호텔도 아주 구질구질해 보이는데, 다행히 가격은 무지 쌉니다. 지금 가격은 어떤지.... 당시는 하루 15페소로 숙박을 할 수 있었고, 타월도 그냥 주었습니다. 우리가 도착했던 저녁은 온천장이 텅 비어있어서 우리 둘이서만 놀 수 있었습니다.

물이 좋긴 한데, 철분이 많아서 세상에 나오자마자 녹슨 물처럼 붉은 빛으로 변합니다. 하지만 물은 아주 미끈미끈하고 각종 피부병이나 관절염같은 질병 환자들에게 아주 좋은 물로 알고 있습니다. 아무튼 우리 부부는 이 호텔에서 하루를 보내며 뜨거운 물에서 시간을 좀 보냅니다. 아르헨티나 교포들이라면, 이 싸구려 온천장에 한번쯤 가 보는 것도 아주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군요. 한국에 계신 분들이라면 굳이 올 정도는 아니구요. ㅎㅎㅎ;;

여행기가 좋다면 추천도 한번 해주세요
,

이튿날, 그러니까 5월 14일이 되겠지요? 기분좋게 일어난 우리는 상 보르자에서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을 잇는 다리로 갔습니다. 브라질의 출국도장을 받고 나서 아르헨티나로 갔는데, 그곳에서는 입국을 거부당합니다. 국경의 법을 잘 모르는 바람에 생긴 일이었지요. 당시 브라질 영주권을 받지 못한 상태에서 브라질 차를 가지고 아르헨티나로 가려고 하는 바람에 일어난 일이었습니다.

결국 우리 부부는 다시 브라질로 돌아와서 보다 남쪽에 위치한 우루과이아나 Uruguayana 로 향했습니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서 그렇게 했던 것이지요. 그리고 그날, 그리고 그 다음날에 걸쳐 우루과이아나에서 시간을 보냅니다. 여러번 전화와 팩스를 주고 받고 시간을 보낸 후에 결국 원하는 서류를 만들어서 아르헨티나 땅을 밟게 됩니다. 그리고 5월 15일 저녁에 아르헨티나의 엔뜨레 리오스 주에 위치한 한 온천 호텔에서 여정을 풀었습니다. 하지만, 그 이틀동안 저희 부부에게 있었던 일은 사실 엄청난 일들이었습니다. 어쩌면 살아있는 것이 다행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을 정도였거든요.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인지 들어보시겠습니까?


상 보르자에서 우루과이아나까지는 BR-472를 따라 200여 킬로미터를 가야 합니다. 상 보르자에서 출발하면서 472번 도로는 아주 상태가 좋았습니다. 전날 상 보르자까지 오는 길이 너무 나빴기 때문에 엉금엉금 기어 다녔던 것을 생각하면 이쪽은 길이 너무 좋았습니다. 그래서 국경에서 입국 거부를 당했지만 콧노래를 부르면서 달려갈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출발한지 한 40~50km 정도가 되었을 때, 야트막한 언덕이 보였습니다. 자동차도 없고 도로도 좋아서 그냥 달리던 가속도대로 130km/h 로 그 오르막길을 지나쳤습니다. 오르막길의 제일 윗 부분에서 앞에 놓인 광경을 보았을 때, 저는 너무 놀라서 그냥 브레이크를 밟았습니다. 하지만 자동차는 달려오던 속도가 있어서 그대로 타이어가 밀리면서 앞으로 나갔고 잠시후 꽝~! 꺼껑~! 꿍~! 콰쾅~! 소리를 내며 말처럼 뛰어 오르더니 도로 한 구석으로 차가 쳐박혔습니다. 어떤 일이 벌어졌느냐구요? 구글 이미지에서 BR-472 를 넣고 검색을 하면 이런 사진이 수도없이 나옵니다. 한번 보시겠습니까?




제 차는 어떻게 되었느냐구요? 일단 외관상으로 앞 유리창이 깨졌습니다. 안전벨트를 매고 있었기 때문에 우리 부부는 다치지 않았지만, 차가 충격을 받았던 거죠. 나중에 부에노스 아이레스 와서 자동차를 정비하면서 보니 자동차 축이 무너져있었고, 업쇼버가 모두 나갔습니다. 여기저기 고무 바킹들은 모두 깨졌고, 심지어는 뒷 바퀴를 지탱해주는 평판 스프링마져 파손되어 있었습니다. 어느 정도로 길이 나쁜지 짐작이 가십니까!

저는 지금도 그때 그 순간을 생각하면 아찔합니다. 나중에 우루과이아나를 와서 알게 된 것이지만, 해마다 그 도로의 그 구간에서 수십명이 생명을 잃는다고 합니다. 특히나 저녁에 사고가 날 경우에는 정말 생명이 위험할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브라질 정부는 왜 이렇게 나쁜 길을 그대로 방치해 두는 것일까요? 민영화를 하든, 정부가 나서서 하든 자국의 국민들의 생명을 위협하는 도로를 빨리 시정해야 하지 않을까요?

상 보르자에서 출발해서 우루과이아나까지 오는 길에 중간에 있는 이따끼 Itaqui 라는 길을 중심으로 80km 구간은 가히 죽음을 부르는 도로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제 지도에는 언제나 그 구간에 붉은 싸인펜으로 절대 접근 금지라고 쓰고 있습니다. 남미에서 제가 돌아다닌 도로만해도 총 연장 거의 50만 km를 다녔는데, 제 기억으로는 472번 도로만큼 상태가 나빴던 길은 없었던 것 같습니다. 여러분도 혹시 브라질 남부를 여행하시게 된다면 이 길은 가급적 피하시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혹시 부득불 가시게 된다면 아주 아주 조심하십시오.

아무튼 이럭 저럭해서 아르헨티나 국경을 넘고 200여 킬로미터를 더 달려서 페데라시온 Federacion 이라는 온천지대에 도착하게 됩니다. 이곳에서 하루저녁을 보내고 그 이튿날 부에노스 아이레스까지 가게 됩니다.

남미에서 자동차 여행을 할 경우:
다른 나라로 갈 경우 까르따 베르데 (Carta Verde) 라는 자동차 보험을 꼭 가지고 다녀야 합니다. 까르따 베르데는 가지고 있는 자동차 보험과는 상관없는 별도의 국제 보험입니다. 아르헨티나 차량들의 경우, 가지고 있는 보험속에 까르따 베르데가 포함되어 있다고 주장합니다. 아무튼 아르헨티나 차량들의 경우 이웃 나라로 여행을 해도 까르따 베르데 때문에 문제는 없습니다. 비단 주장하기 때문은 아니라, 이웃 나라 경찰들이 까르따 베르데를 보여달라고 요구하는 경우가 별로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다른 나라 차량의 경우 아르헨티나로 여행한다면 까르따 베르데를 꼭 가지고 다녀야 합니다. 언제나 아르헨티나 도로 경찰이 요구하는 것 중에 하나가 그 서류이기 때문입니다. 그 외에도 아르헨티나의 경우 삼각대가 2개 있어야 합니다. 만약의 경우를 대비해 구급 상자도 가지고 있어야 하고, 또 고장난 차량을 견인할 수 있는 쇠사슬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이런 모든 서류와 장비를 가지고 있어도 아르헨티나 도로 경찰이 끈덕지게 늘어붙는 경우가 있으니 마음의 준비를 하고 계셔야 할 것입니다.

여행기가 좋았습니까? 댓글 한줄 해 주세요~!
,

여행을 떠나기전에 해야 할 일이 무엇일까요? 먼저 여행하게 될 루트를 정해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필요한 도구와 장비, 또는 옷가지와 돈을 챙겨야 하겠지요? 저도 그 정도로 알고 여행을 준비하게 됩니다. 하지만, 제가 가지고 있던 차가 너무 불편했습니다. 그래서, 결국 제가 가지고 있는 돈을 몽땅 쏟아부어 자동차를 개조하게 됩니다.

위에 나와있는 자동차인데, 이 자동차의 모델을 아시겠습니까? 원래는 푸조 504 픽업입니다.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푸조 픽업, 특히 504 시리즈에는 저 모델처럼 5명이 탈 수 있는 모델이 없습니다. 원래 두 사람이 탈 수 있는 소형, 아니 중형 트럭이라서 짐은 많이 싣지만 사람은 단지 두명만 탈 수 있습니다. 그것을 저는 다섯명이 탈 수 있는, 다시 말해 좀 더 실내 공간이 많은 자동차로 개조를 했습니다. 어디서 했느냐구요?

브라질 상파울로에는 자동차를 개조해주는 설비를 가진 회사들이 상당수 있습니다. 대부분 승용차를 방탄으로 만드는 회사들이지만, 저처럼 두명이 타는 픽업을 두칸을 가진 픽업으로 만드는 회사들도 몇 있습니다. 그중에 가장 유명한 회사가 트로피컬 캐빈이라는 회사일 것입니다. 지금도 회사가 운영되고 있다면 상파울로 북쪽의 자싸냐 라는 지역에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제가 개조를 했을 무렵에 이 회사는 센떼르 노르치 쇼핑 Center Norte Shopping 부근에 있었습니다. 이 회사 사이트를 보고 싶으십니까? <여기>를 눌러 방문해 보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를 잠깐 살펴보니까 상파울로 지점은 폐쇄된 모양입니다. 쩝)

푸조 504를 개조는 했지만, 사실 저 차가 장거리 여행을 하기 좋은 것은 아닙니다. 기름탱크가 겨우 30리터라서 최고 400km 정도를 갈 수 있습니다. 그러니 따로 여분의 기름탱크도 준비해야 하고, 또 여러 나라를 들를 것이므로 좋은 지도도 필요할 것입니다. 이런 저런 준비를 하며 여행 계획을 세우는 일은 예나 지금이나 저를 아주 들뜨게 하죠.

꾸리찌바를 출발해서 BR-116 을따라 가다가 BR-476으로 빠소 푼도 Passo Fundo 를 지나 BR-285번을 타고 상 보르자 Sao Borja 까지 진행한다음 국경을 건너 아르헨티나 도시 산토 또메 Santo Tome 에서부터 아르헨티나 국도 14번을 타고 부에노스 아이레스까지 일단 가는 것으로 정했습니다.

그 다음 노선은 부에노스 아이레스에서 남쪽으로 2번 국도를 따라 바이아 블랑까 Bahia Blanca를 지나 부에노스 아이레스 주의 마지막 도시인 까르멘 데 빠따고니아 Carmen de Patagonia 와 리오 네그로 주의 첫번째 도시 비에드마 Viedma 를 통과합니다. 계속 남하해서 뿌에르또 마드린 Pto. Madryn 까지 가는 것이 두 번째 노선으로 잡았습니다.

세번째는 뿌에르또 마드린에서 좀 더 남쪽으로 가서 뜨렐레우 Trelew 라는 도시를 우회한 다음, 거기서 25번 국도를 따라 대륙을 가로지른다음 북쪽으로 약간 올라가서 에스껠 Esquel 까지 가는 것이 세번째 코스였지요.

네번째는 에스껠에서 칠레 남쪽의 도시 뿌에르또 몬트 Pto. Montt 까지 가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그 다음에는 칠레의 5번 국도를 따라 산티아고 Santiago del Chile 까지, 그리고 산티아고에서 친구들을 만난 후로 계속 진행해서 칠레와 페루의 국경이 있는 아리까 Arica 까지 가기로 했습니다.

아리까에서 페루로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우측으로 방향을 틀어 안데스 산맥을 건너 볼리비아로 들어가는 것이 다음 코스였습니다. 일단 라 빠스 La Paz 를 방문하고, 그 다음에는 꼬차밤바 Cochabamba, 마지막으로 산타 크루스 Santa Cruz de la Sierra 를 방문하기로 했습니다.

산타 크루스에서는 일단 부에노스 아이레스로 돌아온 다음 11번 도로를 따라 북상해서 파라과이 아순시온 Asuncion 을 방문한다음 파라과이의 2번 도로를 따라 이과수 Foz do Iguacu로, 그리고 계속 동진해서 꾸리찌바로 돌아오는 계획을 세웁니다.

이제 시작되는 여행기를 보면, 처음부터 난관에 부딪히고, 결국 끝까지 제 생각대로 돌아다니지는 못했음을 알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아무튼 당시에는 처음부터 설레는 마음으로 계획을 짜고, 또 준비를 하면서 몹시 설렜던 기억이 남아 있습니다.

게다가, 지금 생각해도 특이한 것은, 당시가 2001년에 아르헨티나에 경제 파동이 있고 나서 얼마 안 있었던 지점이기 때문에, 제가 가지고 있었던 재산이 모두 동결되어 있었던 시점이었거든요. 제가 그렇게 오래 살지는 않았지만, 당시의 저는 정말 생애 중에 가장 가난했던 상태였습니다. 하지만 이 모든 여행을 할 수 있었다는 것이 기특하기까지 합니다. 아무튼, 이제부터 언제까지 연재를 하게 될지 모르겠지만, 매주 월요일에 업데이트가 될 "자동차로 지구 반바퀴"를 기대해 주시기 바랍니다.

(참, 제가 찍은 사진이 변변한게 없는 관계로, 많은 경우 사진은 구글에서 캡쳐해서 올리겠습니다. 이점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블로그가 좋았다면 댓글 하나 해 주세요~!
,

와이프의 친구중에 이름이 같은 아가씨가 하나 있습니다. (남편이 없는 관계로 아가씨라 칭합니다. 나이는 50세입니다. ^^) 이 아가씨가 80이 넘으신 부모님을 모시고 사는 집이 플로리아노폴리스 시내 북쪽의 아그로란디아 Agrolandia 라는 지역에 있습니다. 우리 부부는 이번에 플로리아노폴리스를 간 기회에 하룻 저녁을 그 아가씨 집에서 보냅니다. 이 지역은 구릉지대에 있습니다. 그래서 골목이 상당한 경사를 이루고 있지요. 골목 경사를 보시겠습니까?


와이프 친구의 집 뜰에서 본 골목입니다. 저 위에 붉은 색 프람보얀이 피어 있는 곳이 보이지요? 그곳에서 급커브를 해서 골목이 연결됩니다.


그쪽으로 올라가면서 아래로 찍은 것입니다. 와이프 친구의 집은 저 아래 큰 건물 바로 옆에 붙어 있습니다. 이쪽 집들은 주변 나라들 특히 아르헨티나 사람들이 대거 이주하면서 지어진 집들처럼 보입니다. 브라질 사람들과는 달리 아르헨티나 사람들의 건축물은 아기자기한 면이 많습니다. 그 특징들이 이 지역 집들에 고스란히 남아 있습니다.


경사 때문에 바로 이웃집들과의 높낮이 차이가 보통이 아닙니다. 옆집과 보통 건물 1층 정도 차이는 나 보입니다. 이런 경사 속에서 집을 지었다는 것이 신기할 따름인데, 생각해보니 제가 너무 평지에만 살았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아무튼 프람보얀이 피어 있는 곳까지 와서 급커브를 튼 쪽으로 찍었습니다. 저 끝에 노란색 벽이 보일 것입니다. 그게 중요합니다. ㅋㅋㅋ;; 그리고 그 앞에 담쟁이 덩굴로 덮인 담벼락이 보이지요? 거기까지 전진합니다.


노란색 담 바로 옆에서 지나온 골목을 찍었습니다. 즉 와이프 친구 집에서 두 번째 커브를 틀었다는 뜻이죠. 이 자리에서 바깥쪽으로 카메라를 들이댑니다.


노란색 담장 옆으로 멀리 보이는 저것은 바로, ..... 그렇습니다. 20층이 넘는 건물 꼭대기 부분이 보이는 높이까지 올라와 버린 듯 싶습니다. 바다가 한 눈에 보이는군요. 정말 골목길의 경사가 대단합니다. ^^


자 이제, 다시 와이프 친구의 집으로 들어갑니다. 문을 열고 들어가니 아기자기한 집 구조가 눈에 띕니다. 게다가 여기 저기 꽃과 나무들로 장식이 되어서 인형이 사는 집처럼 보입니다. 집으로 들어가보니 땅의 경사 때문인지 집이 3층처럼 되어 있습니다. 친구가 사는 집은 2층에 해당됩니다. 친구는 간이 침대에서 자고 우리 부부에게 자신의 방을 내 주었습니다.


조그만 응접실입니다. 조그맣다지만 이것 저것 다 갖추고 삽니다. ㅎㅎㅎ;; 그런데 한가지 특이한 것이 담장에는 고압선이 설치되어 있고, 창문에도 커다란 자물쇠들이 붙어 있습니다. 게다가 밤에 잘 때마다 철문을 이중 삼중으로 닫습니다. 물어보았더니 이 지역에 좀도둑들이 많다고 합니다. 낮에 다닐 때는 괜찮지만, 밤에는 월담을 하는 친구들이 상당히 많은가 봅니다.


2층에 해당하는 친구의 식당 뒤쪽입니다. 조그만 마당과 함께 이웃집 벽을 끼고 세들어 사는 사람들의 조그만 방들이 있습니다. 이 조그만 뒷마당이나마 이것 저것 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는 것이 신기합니다.


와이프의 친구는 이 동네에 거주한지 60년이 되었다고 합니다. (응? 친구가 50세라고 했는데... 친구의 부모님이 살았다는 뜻이군요. 즉, 와이프의 친구가 이 지역에서 태어났다는 뜻인가 봅니다.) 그래서인지 집 역시 세월의 흔적을 담고 있군요. ^^


또 한쪽으로 계단이 있었습니다. 즉 3층 높이로 올라가는 계단이겠지요? 그곳에도 창고 비슷한 건물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사이사이마다 이런 저런 채소와 과일을 키우고 있더군요. 아주 조밀조밀한 구조였는데, 제 눈에는 별천지로 보였습니다.


게다가 닭장이나 새장인지, 암튼 그런 것도 있고, 집에 노래하는 새가 몇 마리 있던데 밤낮으로 노래를 하더군요. 그런데 집 주인 할아버지, (즉 와이프 친구의 아버지) 또 할머니 모두 여간 밝으신 분들이 아니네요. 낙천적인 성품이신데, 눈이 아주 밝으신 것 같았습니다. 아침에 일어났더니 벌써 식사를 마치시고 성경책을 읽고 계셨습니다. 참, 대단하신 분들이세요. 80이 훌쩍 넘으신 분들인데, 앞으로도 장수하기를 바랍니다.

블로그가 좋았다면 댓글 한 줄 해 주세요
,

밤의 깜보리우

여행 2011. 12. 12. 10:00 Posted by juanshpark

모처럼 바닷가에 왔는데, 저녁이라고 그냥 있을 수는 없겠지요? 저녁을 먹고 느즈막하게 집주인 부부와 함께 바닷가로 나왔습니다. 숙박을 하고 있던 집에서 바닷가까지는 1킬로미터 정도 되는데, 천천히 걸으면 한 20분 정도만에 바닷가로 오더군요. 식사를 한 뒤였기 때문에 소화도 시킬 겸 걸어 나옵니다.

브라질 남부의 대서양 해변가는 사실 브라질이라고 하기가 뭐 합니다. 땅이 브라질인 것은 사실이지만, 정통 브라질과는 아주 다른 문화를 체험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주변 나라들 모두가 스페인어를 쓰는 스페인어 공동체에 속해 있기 때문이죠. 좀 더 이야기를 하자면 주변 나라들은 우루과이와 아르헨티나를 제외하고는 내륙 국가이거나 태평양 연안에 있습니다. 내륙 국가들, 이를테면 파라과이와 볼리비아에서는 해마다 상당한 사람들이 브라질 해변가로 찾아옵니다. 그들은 찾아오는 정도에서 벗어나 이곳으로 이주해서 살기도 하죠.

아르헨티나는 이곳을 찾는 스페인어 공동체 국가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아르헨티나 역시 대서양에 면하고 있지만, 부에노스 아이레스주를 제외하고는 사실상 바닷가에 들어갈 수가 없을 정도로 바닷물이 찹니다. 게다가 부에노스 아이레스 주에서 가장 많이 찾는 바닷가인 마르 델 플라타 Mar del Plata의 바닷물은 라플라타 강  La Plata River 의 영향을 받아서인지 물색이 그리 아름답지 않습니다. 그러다보니 수 많은 아르헨티나 관광객들이 아름다운 브라질 남부의 해변가를 찾아서 이주를 했습니다. 때문에 깜보리우 역시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의 문화가 조화롭게 섞여 보이게 되었습니다.


마침 저희가 해변가를 나간 저녁에는 브라질 클럽축구 결승전에서 꼬린치안스 Corintians 팀이 우승을 한 날이었습니다. 팬들이 꼬린치안스 팀의 상징인 흰색과 검은색의 깃발을 흔들며 깜보리우 시내의 상업 중심가인 브라질 대로 Av. Brasil 를 행진을 하고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그냥 몇몇 소년들이 나와서 춤추고 노래하는 것으로 끝인줄 알았습니다. 이내 제 생각이 틀렸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대로를 막고 행진을 하는 꼬린치안스 팀의 팬들의 열기는 브라질 다웠습니다. 브라질은 다른 남미 국가들처럼 축구와 관련해서는 광(狂)이 되는 나라지요. 브라질 속담중에 이런 말이 있다고 합니다. "그에게 공을 주어보라. 그가 어떤 사람인지를 밝힐 것이다" 라고 말입니다.


저 뒤에 불을 밝히며 다가오는 차량 행렬들이 모두 꼬린치안스 팀의 팬들이었습니다. 아마도 바닷가에 모여서는 대로를 통해 행진을 하는 듯 합니다.


직접 걷지 않고 차량속에 꼬린치안스 기를 걸고 행진을 하는 차량도 많았습니다. 물론 경적을 울리며 지나나고 있었지요.


그 와중에도 제 눈에는 멋진 오토바이도 찍어 봅니다. ^^


미니 쿠퍼 mini cooper 한 대는 아예 꼬린치안스 팀처럼 흰 바탕에 검정 줄을 입혔군요. 그렇게 행렬이 지나가고 나자 다시 쇼 윈도우를 보며 산책을 계속합니다. 그러다가 한 쇼 윈도우에서 멈췄습니다.


파티복을 파는 집이었는데, 쇼 윈도우에 걸린 3벌의 파티복이 모두 마네킹에 걸쳐 있었습니다. 가슴을 다 드러내고 말이죠. 쇼 윈도우를 데코레이션 하고 있었을까요? 아니면 시선을 끌기 위해 의도적으로 이렇게 한 것일까요? 아무튼 제 눈에는 신기하게 보였습니다.


한참을 걸었더니 아이스크림 하나 먹자고 하더군요. 그래서 요거트 아이스크림 집으로 들어갔습니다. 집사람은 토핑이 없는, 그냥 나뚜랄 Natural 한 맛을 좋아합니다. 주인 부부에게는 딸기와 과일을 잔뜩 얹어서 대접을 하고 와이프는 그냥 흰 색의 요거트 아이스크림을 주문했습니다.


그래도 맛있어 보이지요? ㅎㅎㅎ;; 요즘 브라질은 이렇게 요거트로 만든 아이스크림이 인기입니다. 가격이 싸지도 않은데, 아무튼 사람들이 건강을 좀 더 생각한다는 뜻이겠지요?

바깥으로 나와 계속 산책을 하는데, 찌푸린 하늘에서 갑자기 비가 쏟아져 내립니다. 우리 일행은 어떤 가게 처마밑으로 들어가서 비를 피합니다. 그런데 바닷가에서 놀고 있던 수 많은 젊은이들이 거리 이쪽과 저쪽으로 뛰어들어가서 처마밑을 점령해 버렸습니다. 공교롭게도 제가 있는 이쪽에는 남자들이, 저쪽에는 여자들이 무리를 지었더군요.



그런데, 이쪽과 저쪽 그룹들이 서로 소리를 지르며 노래를 부르는 것입니다. 왁자지껄하는 소란속에 저는 뭔 말인지를 하나도 못 알아듣겠더군요. 하지만 와이프는 이곳에서 정규 교육을 다 받은 사람입니다. 금방 이들이 소리쳐 부르는 노래를 듣고는 눈쌀을 찌푸리더군요.



남자 그룹과 여자 그룹은 모두 아르헨티나 청소년들 이었습니다. 아마 수학 여행을 온 모양입니다. 아니면 단체로 놀러왔겠지요. 함께 어울려 놀던 이들은 비가 오자 서로 반대편으로 뛰었고, 마주보며 화답하는 형식으로 노래를 부릅니다. 그런데 그 내용이 성(性)행위를 노골적으로 묘사하는 노래라고 하네요. 와이프가 눈쌀을 찌푸린 이유가 있었군요. 그냥 젊은이들의 치기로 넘어가면 될 일이겠지만, 부모들의 감독이 없이 젊은이들끼리만 놀러온 상태에서 저렇게 놀다가는 군중심리때문에 안 좋은 일도 할 듯 합니다. 아무튼 깜보리우가 아르헨티나 젊은이들이 많다는 것을 다시한번 느끼게 해 주는 저녁이었습니다.

블로그가 재밌었다면 댓글 한번 해 주세요
,

옥수수 - 남미 사람들의 중요한 식량

자연/식물 2011. 12. 6. 07:00 Posted by juanshpark

옥수수는 고고학자들에 의하면 5000여년 전에 남미 전역에서 재배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그 수치가 믿을 만한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남미가 원산지인 것임에는 분명해 보입니다. 그래서인지 제가 돌아다녔던 남미의 모든 나라들과 지역들에는 옥수수와 관계된 신화와 신들이 존재했고, 옥수수로 만든 음식이나 음료가 많았으며 일반 사람들의 생활에서 중요한 식량으로 취급되고 있었습니다.


지금은 옥수수의 당류와 사료로 주어지는 옥수수가 시끄럽기는 하지만, 그래도 여전히 남미에서는 옥수수가 인기가 있습니다. 2010년 기준으로 전 세계에서 옥수수를 가장 많이 생산하고 있는 나라는 미국이었고, 두 번째는 중국, 그 다음으로 3위~5위가 줄줄이 브라질, 멕시코, 아르헨티나로 중남미 국가였다는 것도 흥미로운 일입니다.


브라질의 경우, 옥수수로 만든 음식 전문점이 있을 정도로 옥수수가 많이 재배되고 또 사용되고 있습니다. 위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겨울철이 되면 다 익은 옥수수가 달린 밭이 지평선 끝까지 계속되기도 합니다. 이렇게 많이 생산이 되는 옥수수는 식용으로도 쓰이고, 기름을 짜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공업용 연료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브라질의 경우는 개량이 된 옥수수를 여러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 많이들 재배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르헨티나의 사정은 어떨까요? 물론 아르헨티나 역시 비슷하며, 또 많은 양의 옥수수들이 식용유 생산에 사용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같은 남미 나라중에 안데스 고지에 위치한 두 나라, 볼리비아와 페루에서는 한때 주식으로 여겨질 정도로 옥수수가 많이 재배되었고, 또 많은 종류가 있었습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아는 흰색이나 노란색 옥수수 뿐 아니라 붉은 색, 검은색, 또는 푸른색의 옥수수까지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십니까?


옥수수에 해당되는 스페인어는 마이스 Maiz 라고 합니다. 아르헨티나에서는 초클로 Choclo 라고도 하지만, 초클로라는 말은 옥수수 자체보다는 알갱이가 아직 말랑말랑한 것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포르투갈어로는 밀료 Milho 라고 합니다. 옥수수가 중남미가 원산지라면 원래는 어떻게 불렸을까요? 타이티의 원주민들은 이 식물을 마히스 mahis 라고 불렀습니다. 그들의 언어로 이 단어의 의미는 "생명을 연장시켜 주는 (것)" 이라고 합니다. 이 단어 곧 마히스에서 오늘날 스페인어의 마이스가 나왔다는 것이 거의 정설로 보입니다.


저는 이 사진들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리니에르스 라는 지역에서 한 상점 주인의 허락을 받고 취재할 수 있었습니다. 그곳 리니에르스는 볼리비아 및 페루 사람들의 본거지처럼 보이는 곳입니다. 그곳에는 부에노스 아이레스에 있는 또 다른 아르헨티나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검은색의 옥수수는 어떤 맛일까요? 어떤 분들은 꼭 썩은 것 같다고 생각하실지 모르겠지만, 검은색 옥수수들도 아주 구수하다는 것은 드셔본 분들만 아실 것입니다. 선입견을 버리고 드신다면 아주 맛있는 옥수수를 발견하게 될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바로 위의 검은색 옥수수는 식용이 아닙니다. 아니, 직접 물어뜯는 용도의 옥수수는 아닙니다. 그보다는 볼리비아 사람들이 마시는 음료의 색을 내 주기 위해 사용이 되며 색을 우려내고 나서는 버리는 옥수수입니다.


하지만 식용으로 쓰이는 검정 옥수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한 킬로그램에 아르헨티나 화폐로 14페소를 받습니다. (가게에 따라 또 상품에 따라 가격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미화로 3불 정도니까 한 킬로그램에 한화 3300원 정도가 되겠네요. 저는 이번 여행에 몇 개를 사 가지고 왔습니다.


검은색 옥수수 뿐 아니라 붉은 색과 흰색도 함께 사 왔습니다. 그리고 밥을 지을 때 조금씩 섞어서 지으니 밥이 아주 맛있더군요.

여러분의 고장에서도 옥수수를 쉽게 구할 수 있습니까? 어떤 색의 옥수수들 일지는 모르겠지만, 맛있는 옥수수이기를 바랍니다. 여러 미디어에서 옥수수의 안 좋은 점들을 많이 부각시키기는 했지만, 여전히 남미 사람들의 식탁 한 쪽에는 옥수수가 있다는 점을 생각하신다면, 감사하게 드실 수 있지 않을까요?

블로그가 좋았다면 댓글 한 줄 부탁합니다
,

라틴 아메리카 이야기 Index 페이지

정보 2011. 11. 23. 21:47 Posted by juanshpark

라틴 아메리카 이야기의 Juan 입니다. 이 블로그가 개설된 때는 2008년 6월이었습니다. 3년 반이란 시간이 후딱 지나가 버렸는데, 그 긴 시간동안 포스트한 숫자가 드디어 700개가 되었습니다. 처음 시작할 때에는 매 100번마다 인덱스 페이지를 만들 생각을 했었는데, 500번째 인덱스 뒤에 501번에서 총 500개에 달하는 포스트에 대한 인덱스를 만든 뒤 600번째는 인덱스 페이지를 만들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700번째에 잊지 말고 인덱스 페이지를 만들자고 결심을 했습니다.

지난 200여번의 포스트에는 어떤 내용들이 실렸을까요? 개인적으로 500여개를 쓸 때보다는 열정이 많이 식었습니다. 또 시간도 그렇게 여유롭지 못해서 내용이 좀 부실한 것도 있었을 것입니다. 초심을 잃게 되었다는 것이 아쉽지만, 그런대로 봐줄 만한 부분도 있었다고 자평합니다. 아무튼 그동안 제 블로그를 찾아 주신 독자 여러분들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혹시 아래 내용들 가운데서 못 보신 포스트가 있을까요? 그렇다면 클릭해서 봐 주시기 바랍니다. 이번 인덱스 페이지와 501번 인덱스 페이지는 저도 참조하기 위해 자주 들어올 생각입니다. 그럼.

이과수 폭포 그리고 이 지역의 관광 컨텐츠 관련 포스트 모음입니다.

510번    쌍무지개가 뜬 겨울 이과수 폭포
550번    병으로 만든 집 - 환경 오염의 해결책?
553번    이과수 폭포 2010년 10월
576번    물이 맑아진 이과수 폭포
596번    하루에 양쪽 폭포 다 보기
625번    선선한 가을입니다. 수영장에 한번 가 보실래요?
640번    가을 이과수 폭포
643번    이과수 폭포속의 화가
644번    밤에 보는 이과수 폭포 - 아르헨티나 쪽
645번    이과수 관광에 빼 놓으면 안되는 한 가지
646번    하피에 관한 이야기
658번    브라질쪽 두 번, 아르헨티나쪽 세 번 - 이과수 폭포 사진
664번    아르헨티나 이과수 국립 공원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
682번    이과수 지역 관광 컨텐츠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 링크
685번    브라질 이과수 폭포 2011년 11월
686번    조류 공원 방문기


삼개국 국경 지역에 대한 글입니다.

504번    버거킹 델 에스떼를 가 보다
507번    생활속의 단상 - 브라질, 이과수
513번    델 에스떼에서 가장 비싼 커피점
524번    이과수 주변 - 산타 테레지냐 데 이따이뿌
525번    생활속의 단상 - 이과수 브라질
542번    포즈에서 집찾기 - 이해하기 힘든 이야기
546번    이과수의 봄을 알리는 전령 - Santa Rita
575번    직접 소스를 선택해 먹는 파스타
580번    Provincia de Misiones -  이과수를 끼고 있는 아르헨티나
581번    뿌에르또 이과수에서의 밤
582번    야경을 볼 수 있는 곳, 그러나
584번    호텔에서의 저녁 식사
587번    이과수에 흔하지 않은 것이 무엇일까요?
588번    자동차의 무덤에서
590번    포즈 두 이과수 서민의 삶
591번    변화하고 있는 이과수
595번    부동산 거품이 시작된 이과수
597번    이과수에 새로운 스타일의 주거 공간
598번    개방 지향적, 아니면 바보?
599번    누가 브라질엔 밤문화가 없다고 했는가?
600번    이과수에서 간단히 저녁 먹기
601번    이과수의 술 까샤싸 꽈치(Quaty)를 소개합니다
602번    모나리자에서 먹는 점심
605번    건강하게 삽시다~!
609번    브라질 사람들의 장례 (이과수에서)
623번    Lola - 이과수의 새로운 퓨전 식당
626번    이탈리안 아이스크림 - 이과수에서
642번    뿌에르또 이과수의 샌드위치 가게 Betos
650번    뿌에르또 이과수에 새로 연 빵집 방문
657번    맹인을 뭘로 보고....


브라질 내에서의 여행 및 브라질 풍경

505번    웨딩 엑스포 브라질
526번    교통사고 - Raposo Tavare
527번    Tatui - 음악의 도시에서 마시는 커피 한 잔
528번    옥수수로 만든 음식 전문점
529번    Famiglia Mancini - 특이한 골목속의 식당
530번    Rodo Shopping km 72, Castelo Branco
533번    브라질 남부 해변가 Camboriu 야경
534번    정신질환자 노인들을 위한 요양원 방문
538번    찌그러진 자동차 응급 처치법
539번    Itajai 에서 먹은 해물탕 Caldeirada
543번    브라질에서 맛보는 도미노 피자
547번    주말 나들이 - 꾸리찌바로
548번    꾸리찌바에서의 오후
549번    대박 조짐 - 꾸리찌바의 일식집 마루
610번    주말 나들이 - 살또 데 과이라
611번    이따이뿌로 인해 수몰된 폭포 이야기 - 이과수 주변 도시 (3) Guaira
612번    이과수 주변 도시 (4) Marechal Candido Rondon
613번    이따이뿌 호수 최단 북쪽의 호변 Porto Mendes
614번    또 다른 호변, Pato Bragado 에서 Entre Rios do Oeste 사이
616번    이따이뿌 최고의 백사장 Santa Helena
617번    이과수에서 제일 가까운 Itaipulandia
627번    꾸리찌바 풍경 1
628번    꾸리찌바 풍경 2
629번    소나무 목재소 방문기
630번    꾸리찌바에서 먹었던 갈비
631번    또 다른 목재소 방문기
632번    Mexicano - 꾸리찌바의 식당
633번    꾸리찌바의 시장 방문
634번    커피를 찾으세요?
636번    제지 공장 견학기
641번    남미 최대 인쇄소를 가 보다
647번    더운 지역의 겨울
652번    상파울로까지의 모험
653번    상 파울로 시내 풍경
654번    상 파울로 시내의 사람들 풍경
656번    상파울로 인근의 휴양도시 깜뽀스 도 조르덩
665번    사진 & 이미지 2011 엑스포 - 브라질
666번    겨울 바다에서, 2011년 8월의 과루자
667번    겨울 바다에서 먹을 수 있는 음식
668번    한인 밀집촌 부근의 공원 Luz
669번    상파울로에서 산타까타리나 해변까지
670번    Camboriu 에서 잠깐
671번    산타까타리나에서 꾸리찌바까지
672번    꾸리찌바 시내 모습
673번    MDF 공장 견학
674번    이과수 오는 길에 들르면 좋을 식당 Maxim's
675번    꾸리찌바에서 포즈 두 이과수로 오는 길
676번    꾸리찌바에서 이과수 오다 저녁 식사 할 수 있는 곳


아르헨티나 여행 및 아르헨티나 풍경

516번    아르헨티나 인들의 장례 습관
517번    이과수에서 부에노스 아이레스까지
518번    맥도널드에서의 아침 식사
519번    부에노스 아이레스에서의 단상
520번    부에노스 아이레스에서의 단상 2
521번    한국의 맛집을 지구 반대편에서
522번    비아 바릴로체 예찬
554번    잠시 부에노스 아이레스를 다녀오겠습니다
555번    부에노스 아이레스에서 찍은 꽃들 01
556번    밤이 멋진 곳 - 팔레르모 소호
557번    팔레르모 비에호의 조그마한 거리 러셀
558번    팔레르모 비에호의 저녁 그리고 커피 한 잔
559번    아싸이를 부에노스 아이레스에서 시식해 보면?
560번    지붕이 멋진곳이 어딘지 아십니까?
561번    정말 아름다운 창문 그리고 베란다
562번    카페가 많은 곳, 부에노스 아이레스
563번    동상이 많은 곳, 부에노스 아이레스
564번    꽃집이 많은 곳, 부에노스 아이레스
565번    미녀가 많은 곳, 부에노스 아이레스
566번    아르헨티나 전 대통령이 죽은 날
568번    유모차가 많은 곳, 부에노스 아이레스
569번    Cama Suite of Rio Uruguay (부에노스 아이레스에서 이과수까지)
570번    부에노스 아이레스에서 찍은 꽃들 02
571번    부에노스 아이레스 풍경
572번    부에노스 아이레스 풍경 2
578번    내가 쓴 글대로 여행하기
608번    아르헨티나인의 한국인 혐오가 그 정도나?
655번    아르헨티나 식으로 기네스에 도전한다면....
677번    부에노스 아이레스로의 여행 - 올해 계획된 마지막 나들이
679번    부에노스 아이레스에서의 점심 식사
680번    아에롤리네아 아르헨티나 - 악명 높아지고 있는 비행사
681번    부에노스 아이레스에서 잠시

파라과이로의 여행과 파라과이의 풍경

535번    아순시온과 델 에스데 사이의 휴게소 Lactolanda
536번    아순시온의 깔끔한 한인 식당  Rock Ya 소개
537번    아순시온의 한인 제과점 Hidalgo
593번    설날에도 문여는 식당
594번    일요일 점심에 문여는 한식집은?
637번    파라과이의 숯불 구이 식당 - 경규네
638번    남미에서 구할 수 있는 한국 제품들


3개국의 특산물, 식물, 나무, 동물들

506번    Cafe Lucca - 브라질의 또 다른 명풍 커피
551번    브라질 방문시 선물 1호는?
552번    이탈리안 수제비 뇨끼를 아십니까?
577번    치미추르리 Chimichurri, 스테이크에 딱!
579번    Sibipiruna - 화사하고 노란 꽃의 나무
583번    빨간 속치마를 입은 새 (구아쇼)
586번    불타는 꽃 - Flamboyant
592번    무공해 과일 마몽을 아십니까?
603번    이과수의 더위를 시원한 Caldo de Cana로~!
604번    양반은 못먹을 과일 (망고, 망가)
606번    최고의 과일 자까 (Jaca)를 소개합니다
607번    블라베루스 기간테우스 - 남미의 거대 곤충
620번    열대 과일 3자매 (여지, 롱안, 람부탄)
635번    브라질 음식을 드셔 보시렵니까?
639번    커피를 마시겠습니까? - 생두에서 커피까지
649번    젱가 혹은 옝가라는 놀이를 아십니까?
651번    남미의 나무들 그리고 목재
659번    와인의 고장에서도 알아주는 와인 Salentein
660번    고추를 닮은 이것의 정체는? (키아보)
662번    브라질을 대표하는 브라질 나무 - Pau Brasil
678번    Pulenta - 명품 와인
683번    붉고 맛있는 과일 - 삐땅가
684번    신비한 나무 - 자또바
687번    브라질 사람들이 제일 많이 키우는 나무는? (자부치카바)
688번    약용으로 쓰이는 브라질 나무 - 소발나무
689번    이게 뭘까요? 브라질 호박


사진 포스트 모음

511번    브라질을 대표하는 4명의 여배우들 사진
546번    이과수의 봄을 알리는 전령 - 산타 리타
555번    부에노스 아이레스에서 찍은 사진 1
567번    티스토리 2011년 달력 공모전 사진
570번    부에노스 아이레스에서 찍은 사진 2
585번    필터없이 찍은 근접 사진들
622번    폭스바겐 풍뎅이 사진 모음
653번    상파울로 시내 풍경
654번    상파울로 시내의 사람들 풍경
690번    사진 공모전 - 가을 01
691번    사진 공모전 - 가을 02
692번    사진 공모전 - 가을 03
693번    사진 공모전 - 가을 04
694번    사진 공모전 - 가을 05
695번    사진 공모전 - 가을 06
696번    사진 공모전 - 가을 07
697번    사진 공모전 - 가을 08
698번    사진 공모전 - 가을 09
699번    사진 공모전 - 가을 10

기타 포스트 모음

502번    2010 남아공 월드컵 - 남미 강국들의 몰락
503번    아쉽다~! 2010 남아프리카 공화국 월드컵
508번    과라니어로 숫자 배우기
509번    2010 남아공 월드컵 후기
512번    여행 계획 1번
514번    여행 계획 2번
515번    부고
522번    세월따라 집을 지으며 사는 남미 사람들
531번    모잠비크에서 살다 온 친구 코스모 부부
532번    스팸 댓글을 추방합시다~!
541번    남미 한인들이 한국에 나가서 가장 많이 쓰는 스페인어는?
544번    브라질 케이블 TV 시장에 대한 보고
545번    블로그를 방문하시는 분들께 드리는 공지
573번    끼노의 만화
574번    한글의 외국어 표기에 대한 생각
589번    티스토리 초대장을 나누어 드립니다
615번    티스토리 초대장 나누어 드립니다
618번    나의 니싼 떼라노 II, 여행은 이제
619번    브라질 건물 천장 Vs. 아르헨티나 건물 천장
621번    티스토리 초대장 마지막 35분의 주인공은 누구입니까?
624번    티스토리 초대장 배부 - 다시 시작 30장
661번    오늘 문득 그냥...
663번    3주 동안 자리를 비웁니다.


이상으로 일곱번째 인덱스 페이지를 마칩니다. 또 700개의 포스팅을 정리를 해 보았습니다. 앞으로 이 페이지는 포스트 숫자 1000개가 될 때까지 501번 인덱스 페이지와 함께 유용한 정보 페이지로 남게 될 것입니다. 저도 물론 자주 참조를 하겠지만, 라틴 아메리카 블로그를 찾으시는 모든 분들이 이 페이지를 참조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그럼, 이제 701번부터 다시 시작해 볼까요?

블로그가 좋다고 생각하시면 댓글 한줄 부탁합니다^^
,

부에노스 아이레스에서 점심식사

관광/아르헨티나 2011. 10. 12. 20:00 Posted by juanshpark

부에노스 아이레스에 예전 한때는 한국인들이 참 많았던 온세라는 곳이 있습니다. 예전에 비하면 많이 줄었지만, 그래도 아직도 한국인들이 많이 거주하기도 하고 또 상업에 종사하기도 하는 곳입니다. 그곳에서 시내쪽으로 조금 더 걸어가다보면 후닌 Junin 이라고 하는 길이 나옵니다. 그곳에서 상업 활동을 하고 있는 친구 하나가 있어서 방문을 했다가 점심 식사를 하게 되었습니다. 사진에 나오는 프로시우또 Prosciutto 라는 식당인데, 겉으로 보기에는 상당히 오랜 역사를 지닌 곳처럼 보입니다. 친구도 그렇게 알고 있었고 해서, 아무튼 이 식당에서 식사를 하기로 합니다.


식당 안에는 오랜 세월의 흔적이랄까 아무튼 그런 분위기가 있었습니다. 참, 편견이란게 컨셉을 완전히 좌우하더군요. 아무튼 창가쪽으로 자리를 잡고 안을 둘러봅니다. 코너에 위치해 있는 식당이란 겉으로 보기에는 넓어보이지만 사실 안으로 들어가면 상당히 좁죠.


그래서인지 이 식당은 높은 천장까지 정말 빼꼭히 상품들을 전시하면서 공간을 활용하고 있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친구가 이 식당이 오래된 곳이라고 소개를 해서 그렇게 믿었고, 또 그렇게 생각해서인지 모든 것이 골동품처럼 보였습니다.


2층 화장실과 별도의 공간으로 올라가게 되어 있는 계단입니다. 세월의 흔적때문인지 대리석으로 된 계단이 많이 닳았더군요. 계단을 올라가는 입구쪽에 놓여있는 구식 전축이 눈에 띄었습니다.


손으로 돌리게끔 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는 구닥다리 장식품때문에 더 그렇게 보였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입두었다 어디 쓰겠습니까! 종업원을 불러 넌지시 물어보았지요. 그랬더니 겨우 17년 된 식당이라고 하더군요. 허 참~! 그래서 편견이란게 무섭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느껴봅니다.


아무튼 식당에 앉았으니 음식은 먹고 가야겠지요? 기본으로 나오는 빵과 버터를 먹으면서 메뉴판을 보았습니다. 저는 언제나처럼 살코기인 비페데조리소를 주문했습니다. 친구는 나폴리타나를 주문하네요. 그리고 샐러드를 함께 추가로 주문했습니다.


나온 음식입니다. 맛갈스럽게 감자칩과 함께 살코기 위에 피망을 구워서 함께 내 왔습니다. 한입 베어 물었더니 맛있는 육즙이 아직 그대로 남아있는 맛있는 고기더군요. 확실히 아르헨티나 고기는 알아줘야 합니다. ^^


친구가 시킨 나폴리타나입니다. 역시 감자를 모양을 내서 튀겨 내왔군요. 친구 역시 만족한 모습입니다. 시장 한복판인데도 조용한 분위기에서 식사를 할 수 있다는 것이 좋았습니다. 와인 한잔을 곁들이면 좋겠지만, 대낮부터 와인을 마신다는 것이 좀 그래서 그냥 물을 마셨습니다.


샐러드 믹스타 라고 하는 것입니다. 상추와 토마토, 양파를 썰어서 버무려 먹습니다. 소금 뿌리고 식초 뿌리고 기름을 뿌려서 먹죠. 고기와 함께 곁들여 먹으면 아르헨티나의 문화를 먹는 것처럼 생각이 들어 좋았습니다. 여러분도 이렇게 드시고 싶으십니까? 아르헨티나에 오시면 아주 흔하디 흔한 음식이니 꼭 시켜 드셔 보시기 바랍니다. ^^

참. 지도.....


가운데 빨간 네모친 공간이 바로 프로시우토 레스토랑이 있는 곳입니다. 후닌 Junin 거리와 사르미엔토 Sarmiento 거리가 만나는 곳에 위치해 있습니다. 부에노스 아이레스에서 온세쪽으로 들려볼 기회가 되신다면 한번 들러보시기 바랍니다.


블로그가 좋았다면 댓글 한줄, 또는 추천 한번 부탁합니다
,

Pulenta - 명품 와인

문화/음식과 음료 2011. 10. 11. 09:24 Posted by juanshpark

멘도싸 Mendoza, Argentina 에서 손님이 오셨습니다. 그런데 멘도싸의 유명 와인을 하나 가져오셨네요. 그래서 한잔 할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Pulenta 라고 명명된 이 와인은 이탈리아에서 아르헨티나로 이민을 온 뿔렌따 가문과 관계가 있는 와인입니다. 자세한 가문의 스토리는 직접 홈페이지로 가서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는 <여기>를 눌러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스트로보 동조촬영을 하지 않아서 새까맣게 나왔습니다만, 실제로 불빛에 비춰보면 짙은 보라색의 아주 맑은 고품격의 포도주라는 데에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향기를 맡아보면 상큼한 과일향이 나오는데, 직접 맛을 보면 아주 그윽한 포도주의 세계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여기서 잠깐....


멘도싸에서 온 친구의 형은 제가 몰랐던 와인의 비하인드 스토리를 두개 털어놓으셨습니다. 첫째는 아르헨티나에서 와인이 가장 비싼 곳이 바로.... 멘도싸라는 것입니다. 이야기인즉, 보데가에서 나오면 일단 포도주의 품질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하더군요. 멘도싸는 산지이므로 맛을 보장하기 때문에 가격이 비싸진다고 합니다. (그런데, 또 다른 분의 이야기로는 멘도싸의 포도주는 보데가에서 직접 공급받는 것이 아니라 도시로 나갔다가 다시 돌아오는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더군요. 아무튼 어느 분의 말이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와인의 도시에서 오신 분이니 친구 형의 말씀이 맞겠지요. ^^)

또 다른 이야기는 알아두면 유용할 정보라는 생각이 듭니다. 포도주는 잘 숙성되고 질이 좋을 수록 알코홀 함량이 높다고 합니다. 이 뿔렌따 와인의 경우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14.5도의 알코홀 함유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와인들이 13.5~15도 사이의 알코홀 함유량을 가지고 있는데, 질이 안 좋을 수록 알코홀 도수가 낮다니, 와인을 고르는데 힘드신 분들이라면 일단 알코홀 함량이 높은 것으로 고르시면 좋을 듯 합니다. ^^

이쯤해서 뿔렌따 와인의 생산 공장이랄 수 있는 와이너리가 궁금해 집니다. 그래서 인터넷에 들어가서 뿔렌따 와인의 홈페이지를 뒤져 봅니다. 다음 사진들은 뿔렌따 와이너리 홈페이지에서 캪쳐해 온 사진들임을 밝힙니다.


뿔렌따 와이너리는 멘도싸 시내에서 서쪽으로 위치한 루한 데 꾸죠 Lujan de Cuyo 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지역에는 수없이 많은 유명 와이너리들이 진을 치고 있습니다. 뿔렌따 역시 그 중 하나인 셈입니다.

뿔렌따 와인너리 홈페이지에서 제 시선을 끌었던 것은  란초 Rancho 라고 이름이 붙은 식당입니다. 단체 손님이라면 최고 14명까지 점심 식사를 할 수 있다고 하네요. 멋진 풍경과 맛있는 와인을 곁들여, 계절에 따라 3가지 음식을 제공한다고 합니다. 한번쯤 위 사진의 광경을 보면서 점심 식사를 즐기고 싶다는 생각이 듭니다. 식당은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열려있습니다. 점심 식사만 제공하지만요. ^^

뿔렌따 와이너리에서 제공하는 사진을 몇 장 더 보여 드리겠습니다.





어떻습니까? 여러분도 한번쯤 들러보고 싶지 않으세요? 아르헨티나 서쪽의 멘도싸 지역으로 여행을 하시게 된다면 꼭 이곳 저곳의 와이너리 투어를 해 보시기 바랍니다. 물론 그렇게 하려면 시간과 지갑이 좀 두둑해야 하겠지만요. 하지만 분명히 추억에 남을 여행이 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보데가 관광에 관련된 정보입니다.:

관광이 가능한 시간은 월~금 오전 9시~ 오후 5시까지 입니다. 토요일은 오전 9시~오후1시까지 입니다.
투어에 걸리는 시간은 보통 1, 2시간이고, 지원이 되는 언어는 영어와 스페인어 입니다.


블로그 내용이 좋았다면 추천 한번, 또 댓글 한줄 부탁합니다
,
BLOG main image
Juan 의 라틴 아메리카 이야기
이 블로그는 이과수 이야기를 기반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그에 더해서 라틴 아메리카의 여러가지 이야기를 담게 되었습니다. 남미는 더이상 신비의 땅이 아닙니다. 하지만 여전히 정보가 부족합니다. 이 방에서 좋은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기를 바랍니다.
by juanshpark

달력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699)
여행 (104)
관광 (100)
교통 (13)
생활 (106)
정보 (73)
문화 (90)
3개국의식당들 (31)
3개국의호텔들 (4)
3개국의상가들 (7)
여행기 (109)
자연 (36)
시사&이슈 (0)
PomA+A (0)
중국어관련 (0)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 (0)
한국어 수업 (0)

최근에 달린 댓글

juanshpark's Blog is powered by Tistory. Designed by Qwer999. Supported by TNM 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