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파란 눈에 검은 눈동자를 가진 이 새의 이름은 투칸(Tucan)이라고 한다.
열대의 새로서 남 아메리카에만 서식하고 있다.
이렇게 아름다운 수 백종류의 새들을 전시하고 있는 곳이 있다.
바로 조류 공원이다.

조류 공원은 브라질 쪽 이과수 국립공원의 입구 근처에 자리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공원이 이웃나라인 아르헨티나와 파라과이에도 존재한다.
하지만, 파라과이의 조류 공원은 시설이나 새들의 환경이 너무나 열악하다.
아르헨티나의 조류 공원은 좀 더 자연적인 환경에서 지내지만
브라질의 조류 공원과는 성격이 사뭇 다르다.

아르헨티나의 조류 공원은 인위적으로 새들을 선택해서 관람을 시키는 것이 아니라
밀렵꾼이나 밀매되는 조류들을 돌보기 위한 시설이라고 하는 것이 더 옳을 것이다.
때문에 삼 개국에서 브라질 쪽의 조류 공원이 일반인들에게 가장 친숙한 시설이라고 하겠다.

공원의 입구에서부터 조류 공원은 관광객의 관심을 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런 모습인데, 예전에는 입구의 좌우로 빠빠가요(Papagaio)라고 하는 아라라(Arara)류의
새들이 두 종류가 전시되어 있었다.
최근에 무슨 연유인지 바깥에는 더 이상 새들을 풀어놓지 않고 있다.
대신 안쪽으로 더 많은 새들이 입주(?) 했다.

공원안에는 사람들과 특히 친숙한 새들이 꽤 된다.
곳곳에 있는 새장에 사람들이 들어가면 새들이 다가와서 사람들과 장난을 치기도 한다.
그 중에 가장 인기가 있는 새가 몇 종류 있다.
위에 나온 투칸은 그 중 하나의 새다.
큰 부리를 가지고 있는 투칸을 보면 어떻게 저런 모습으로 있을 수 있는지 한없이 궁금해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얼굴에 비해서 한 없이 큰 부리.
그래서 더욱 귀엽게 느껴지는 이 새는 온순해서 사람들과 쉽게 친해진다.
어떨때는 사람들에게 다가와서 자신을 만지도록 내버려 두기도 한다.

투칸의 다른 모습은 이렇게 생겼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생긴 모습은 앞의 새보다 조금 더 무섭게 생겼지만,
여전히 온순하다.
오히려 앞의 새보다 사람들에게 더욱 친근하게 다가간다.

조류 공원에서 특히 인기가 있는 새는 벌새라고 할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내 카메라로 수도 없이 찍었는데, 그중 가장 잘 나온 사진이다. ㅠ.ㅠ
너무나 빠르게 오고 가는데다 앞으로 뒤로 나르기 때문에 사진을 찍는 것이 정말 장난 아니다.
벌새는 날개를 얼마나 빨리 움직일까?
놀랍게도 가장 빠르게 움직이는 벌새는 초당 90회를 움직인다고 한다.
일반적인 벌새는 초당 70-80회를 움직이며
가장 조금 움직이는 벌새도 초당 10회 정도를 움직인다고 하는데
이 숫자는 큰 몸집의 새들로는 꿈도 꾸지 못할 수준의 움직임인 것이다.

이처럼 아름다운 벌새에게도 약점이 있다.
그것은 거의 대개의 벌새가 소리를 내지 못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아름다운 몸집과 햇빛에 반짝일때의 오색찬란한 색채는 사람들에게 경탄의 대상이 된다.

이 공원의 마지막 코스에서는 아라라와 황금앵무 무리가운데 몇 마리를 직접 손이나 어깨에
앉히고 사진도 찍을 수 있다.
그리고 가끔은 조그만 뱀 역시 손으로 만져볼 수 있다.

가족과 함께 이과수 국립공원을 올 때
조류 공원을 꼭 함께 관람하기를 바란다.
그러면 열대에 있는 아름다운 새들의 아름다움이 큰 추억을 줄 것이라고 확신한다.

주) 벌새에 관한 블로그를 보려면: 이과수의 보석-벌새
그리고 벌새에 관한 더 자세한 설명을 보려면: 벌새에 관한 설명




,

정동석 (Geodes) - 이과수 지역 특산물

정보 2008. 7. 30. 13:36 Posted by juanshpark

겉 모습은 별볼일 없지만 속은 훌륭하고 또 아름다운 것을 본 적이 있는지?

그처럼 겉모습이 별볼일 없지만, 속은 아름다운 돌이 있다.
그 이름하여 정동석이라고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글 인터넷에서 "정동석"으로 검색을 해 보면 사람들 이름만 죽 나오는 것으로 보아서
한국인들에게 잘 알려진 돌은 아닌 모양이다.

정동석의 영문식 이름은 게오데스이다.(Geodes)
이 단어의 어원은 희랍어다. 그 뜻은 "지구 같은"을 의미한다.
정말 지구는 겉보기보다 속속들이 안을 들여다볼때 정동석처럼 아름다워 보인다.
아무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지역(브라질과 아르헨티나)에는 정동석이 많이 생산이 된다.
그리고 세계의 다른 지역에서 생산되는 일반적인 정동석이 길이 30센티 미터에 불과하지만
이 지역의 정동석은 1미터가 넘는 크기도 상당하다.
아래의 사진 크기를 가늠해보라. 사람의 손을 기준으로 보아 1미터가 훨씬 넘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정동석은 어떻게 형성될까?

정동석은 주로 퇴적암 속의 구멍 주위에서 형성된다고 한다.
정동석이 자라면서, 그것의 표면에 여러 틈이 생기게 되며,
광물질을 함유한 수분이 스며들게 되는데, 그 광물질이 침전됨에 따라
구멍의 벽에서부터 안쪽으로 결정체가 자라게 되는 것이다.
 
그렇게 생성된 결정체가 바로 자수정이다.(Amathyst)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과수를 방문한다면, 돌을 파는 집에 가서 꼭 한 번씩 살펴보고 가기를 바란다.

이과수에는 돌을 파는 집들이 여럿있다. 그 중 한 집인 Tres Fronteiras를 들르고 싶다면:
블로그 방문



,

Ciudad del Este - 과라니 국제 공항

교통 2008. 7. 30. 05:27 Posted by juanshpark
다시 또 과라니 국제 공항을 가 볼 기회가 생겼다.

참, 이상한 것은 항공 요금이다.

브라질의 포즈에서 상파울로까지의 왕복 항공권이 거의 400불에 달하는데
포즈발 상파울로, 그리고 상파울로 발 에스떼 시까지의 왕복 항공권은 160불 선이다.
이해가 되나???

그 항공편으로 지인의 가족이 상파울로에서 온다는 연락을 받았기에 다시 공항을 가게 된 것이다.
그래서 이번에는 사진도 좀 찍을 생각으로 카메라를 가지고 나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공항 입구가 잘 정돈이 되어있다.
그런데, 입구에는 아무도 없다. 주차장 사용료는 좀 더 안으로 들어가서 받기 때문이다.
일괄적으로 2000 과라니를 받는데, 달러로 50센트에 해당하니, 싸기는 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과라니 공항의 청사다. 주변 나라의 고속 버스 터미널 정도 규모밖에 되지 않는다.
심지어는 하루 종일 뜨고 내리는 비행기가 8대를 넘지 않는다니, 뭐 클 이유도 없겠다.
쓰임에 비해서 활주로는 상당히 커 보인다.
공항 한쪽편으로 747도 서 있는 것을 보면 한 때 사용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공항 북쪽으로 있는 소방서 건물이다.
시간이 많아서인지, 소방서 대원들이 차를 닦고 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공항 한쪽 편에 세워져 있는 경 비행기들.
이들 비행기마져 없다면 공항 정말 심심할 거라는 생각이 든다.
기다리는 비행기를 기다리는 동안, 경비행기는 그래도 몇 대 뜨고 내리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 저기 내가 기다리던 비행기가 착륙을 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바로 앞의 경비행기들과는 정말 대조가 되는 크기이다.
그러고 보니 하루에 8대를 넘지 않는다는 비행기는 저 정도 크기인 모양이다.

그런데, 지금 이 사진들을 도대체 어디서 찍었을지 궁금하지 않을까?
공항 청사에는 옥상이 있고, 그 옥상에서 사람들은 비행기가 뜨고 내리는 장면을 모두 볼 수 있다.
다른 공항에서는 보안상의 이유 때문에 비행기에서 사람들이 내리거나 타는 것을 볼 수 없는데
과라니 공항에서는 비행기가 정지한 후 트랙을 통해 사람들이 내리거나 타는 것까지 볼 수 있다.

Aeropuerto Internacional Guarani
이게 이 공항의 정식 명칭이다.

이과수를 방문하는 사람으로 항공권을 좀 더 저렴한 것으로 원한다면
파라과이 과라니 공항이나 브라질 측 공항, 혹은 아르헨티나 쪽 공항 모두를 알아볼 것을 권한다.
,
BLOG main image
Juan 의 라틴 아메리카 이야기
이 블로그는 이과수 이야기를 기반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그에 더해서 라틴 아메리카의 여러가지 이야기를 담게 되었습니다. 남미는 더이상 신비의 땅이 아닙니다. 하지만 여전히 정보가 부족합니다. 이 방에서 좋은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기를 바랍니다.
by juanshpark

달력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699)
여행 (104)
관광 (100)
교통 (13)
생활 (106)
정보 (73)
문화 (90)
3개국의식당들 (31)
3개국의호텔들 (4)
3개국의상가들 (7)
여행기 (109)
자연 (36)
시사&이슈 (0)
PomA+A (0)
중국어관련 (0)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 (0)
한국어 수업 (0)

최근에 달린 댓글

juanshpark's Blog is powered by Tistory. Designed by Qwer999. Supported by TNM Media.